2025/09/25

In Cappadocia and Meteora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Walking the pilgrimage trail in the footsteps of Saint Paul, my heart has been renewed.

Among the changes in my perception that occurred during the pilgrimage, the most vivid is Paul’s frail appearance. Most portraits or paintings illustrate Paul as resolute and determined, often holding a sword in one hand and the Gospels in the other.

However, his actual appearance is far more human. According to the guide, Paul was bald, short and stooped. He was a slight and frail figure.

Then where did his inner strength come from? Where did the inner fortitude, which allowed him to endure and persevere despite limitations and obstacles, come from?

Cappadocia in Turkey and Meteora in Greece offer a glimpse into the remarkable power of nurturing dreams and hope, no matter the circumstances. The incredible and mysterious inner strength inherent in all humans is a gift of God. And this inner power has been sustained by culture, history, natur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rofound inner strength of us all, including Paul, allows us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and move forward constantly.

Numerous underground caves are present in Cappadocia, created not by Christians but by the remnants of war. Around 1,200 B.C., the Hittite Empire fell and Asia Minor entered a dark age. As various divided kingdoms fought among themselves, the remnants had to dig underground caves for refuge.

Later, Christians fled persecution by the Roman Empire and lived in the caves for more than 1,200 years, building churches and painting murals within. In the 4th century, the place where theology and spirituality flourished was not Rome, Constantinople or the Ephesus region of Asia Minor, but the remote province of Cappadocia in central Turkey. It was here that Basil the Great, Gregory of Nazianzus and Gregory of Nyssa, known as the three Cappadocian fathers, were active.

Derinkuyu, meaning “deep well,” is a massive underground city constructed up to 120 meters underground. At present, eight levels are accessible for exploration. As the number of refugees increased, more space was needed. They constantly dug sideways and downwards, creating a labyrinth. Traces of churches, frescoes, granaries, wine cellars, artesian wells and millstones that blocked the entrances still remain.

In 1923, when Turkey became an Islamic state, Eastern Orthodox monks migrated to Greece, establishing monastic colonies on mountaintops. Mount Athos and Meteora are good examples. In Meteora, meaning “suspended in midair,” six monasteries (Great Meteoron, Varlaam, St. Stephen, Rousanou, Holy Trinity and St. Nicholas Anapausas) are still open.

The rocky peaks that formed about 60 million years ago were once part of the sea, but erosion by water and wind, tectonic movements, weathering and earthquakes revealed a spectacular array of conical stone pillars. What was once the sea is now a towering mountain. What was once a temple turned into a church, and then a mosque.

Christians migrated to the underground caves of Cappadocia, but now, Turkey is 99 percent Muslim. Christianity in Cappadocia lasted for about 1,200 years. The birthplace of Paul the Apostle and the places that he traveled endlessly for missions in Turkey are now filled with pilgrims.

Despite differences in religion, race and nationality, the inner strength that transcends human limitations flows freely, like the wind and clouds.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voiceofreaders/thoughtsofthetimes/20250917/in-cappadocia-and-meteora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September 17 (online), 18 (offline), 2025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In Cappadocia and Meteora

성 바오로의 발자취를 따라 가는 순례길을 걸으며 마음이 한층 새롭게 되었다.

순례 가운데 일어난 인식의 변화 가운데 가장 생생한 것은 바오로의 연약한 모습이다. 바오로의 얼굴이 담긴 대부분의 상본이나 그림은 단호하고 결연한 모습을 드러낸다. 한 손에는 칼을, 다른 한 손에는 복음서를 들고 의연하게 서 있는 모습도 있다.

그런데 바오로의 실제 모습은 그보다 훨씬 인간적이다. 가이드에 따르면 바오로는 대머리에 키가 작고 허리는 구부정했다. 그는 소담하고 왜소한 체형을 지녔다.

그렇다면 그의 내적 힘은 어디서 나왔을까? 한계와 걸림돌에도 한없이 견디고 인내하게 한 내적 강인함은 도대체 어디서 나왔을까?

터키(튀르키예)의 카파도키아와 그리스의 메테오라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꿈과 희망을 키워가는 놀라운 힘을 엿보게 한다. 모든 인간 안에 내재된 놀랍고도 신비로운 내적 힘은 분명 하느님의 선물이다. 이러한 내면의 힘은 문화와 역사, 자연과 물리적 환경을 통해 끊임없이 전해져 내려온다. 바오로를 비롯해 우리 모두가 지닌 심원한 내적 힘은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결같이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카파도키아에는 그리스도인들이 아니라 전쟁 패잔병들이 만들어낸 지하 동굴이 많다. 기원전 1,200년 무렵 히타이트 제국이 멸망하고 소아시아 반도가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각 지역이 갈라져 싸우면서 여러 왕국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패잔병들은 토굴을 파고 숨어 지내야 했다.

그 후 그리스도인들이 로마 제국의 박해를 피해 몰려와 1,200여 년이 넘도록 그 땅굴 속에 살면서 그 안에 교회를 세우고 벽화를 그렸다. 4세기에 신학과 영성이 활짝 꽃핀 곳은 로마나 콘스탄티노플, 소아시아의 에페소 지역이 아니라 튀르키예 중부에 자리한 외딴 속주 카파도키아였다. 바로 이곳에서 카파도키아의 삼총사 교부라고 불리는 대 바실리오, 나지안즈의 주교 그레고리오, 니싸의 주교 그레고리오가 활약했다.

"깊은 우물"이라는 뜻을 지닌 데린 쿠유는 지하 120미터까지 파고 내려간 대형 지하도시로 현재 8층까지 내려가 관람할 수 있다. 피난민들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여, 그들은 옆으로, 아래로 계속 파고 들어가 복잡한 미로를 만들었다. 교회와 프레스코 벽화, 곡물 보관소, 포도주 저장고, 지하수 우물, 입구를 막는 둥근 맷돌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

1923년 튀르키예가 이슬람 국가가 되자 동방정교회 수도자들이 모두 그리스로 이주하여 산꼭대기에 수도원 집성촌을 이루었다. 아토스 산과 메테오라가 그 좋은 예다. "공중에 매달인 바위"라는 뜻의 메테오라에는 대 메테오라, 바를라암, 성 스테파노, 루사누, 성 삼위일체, 성 니콜라스 아나파우사스 등 6개의 수도회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다.

바위 봉우리는 6천만여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물과 바람으로 인한 지각 변동과 풍화 작용, 지진을 거쳐 거대한 원뿔 모양의 돌기둥이 장관을 이룬다. 한때 바다였던 곳이 지금은 드높은 산이다. 한때 이슬람 회당이었던 곳이 성당이 되었고, 다시 모스크가 되었다.

한때 그리스도인들이 카파도키아의 지하동굴로 이주하여 살았지만, 현재 튀르키예인구의 99퍼센트가 이슬람 교도다. 카파도키아의 그리스도교는 1,20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 바오로 사도가 태어나 한없이 걸으며 선교했던 튀르키예는 이제 순례자로 가득하다.

종교가 다르고 인종이 다르며 나라가 달라도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내적 힘은 바람처럼 구름처럼 자유롭게 흘러간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In Cappadocia and Meteora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Walking the pilgrimage trail in the footsteps of Saint Paul, my heart has been renewed. Among the changes in my perception that occur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