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Father Andre Bouton 앙드레 부통 신부

When I first came to Andong, a painting entitled “Virgin Mary and Child of Andong” drew my attention. It is very specially illustrated.

Framed copies of the painting are hung at the Andong Diocese History Museum, in the Pauline bookshop, in the dining room of our community and other places. I didn’t know about the artist who painted it.

An interesting exhibition is now on display on the third floor of the parish office of the Diocese of Andong through Nov. 14 this year, titled “Mural paintings, the landscapes we meet again.”

Father Andre Bouton (1914-1980), a French painter and missionary, came to Korea in 1966 and worked at the Order of Saint Benedict Waegwan Abbey. During his 10-year stay in Korea, he presented creative murals. His painting style is called “Fauvism” and uses simple, intense primary colors with thick and rough brush strokes.

Primarily based on European traditions, he expressed the local life and culture of Korea. He tried to combine the indigenous culture with Christianity to share Christian messages and teachings through the images, going beyond language.

He interpreted Korean colors and aesthetics in a modern way and sublimated the enculturation of faith into art. He also produced print works and ceramic pieces to illustrate the Korean people’s figures, traditions and unique colors.

At that time, liturgy and sacred art in Korea were inclined to Western-centric authoritarianism. Naturally, his modern and unconventional painting style felt unfamiliar to some Koreans.

Centering on the Diocese of Andong, he carried out his missionary work through mural paintings in the Catholic churches, stations and public halls across the country.

A mural painting about Korean traditional marriage, hidden behind a wall and thus unseen for over half a century, was unveiled in January. It was painted on the former Andong Ceremonial Hall, now used as an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In the Daeheung-dong Cathedral of St. John the Worker in Daejeon, there are 10 mural paintings. Among them, eight murals were covered in white paint, trapped in the wall between 1977 and 1979.

Probably because some of the Korean priests and believers preferred rich colors and gentle, beautiful sacred paintings, Father Bouton’s painting style would have been a source of bewilderment. However, celebrat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in 2019, the church community decided to recreate Father Bouton’s murals.

Today, his works of art are being reevaluated as an attempt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faith and art. His murals are more than mere decoration; they are contemplative prayers to God and a record of profound reflection on the encounter between faith and culture.

“Artists who paint sacred images must express the invisible world of God, so much prayer is necessary.” Fatger Bouton said in an interview with a Catholic newspaper in April, 1972. “Before I paint a single painting, I must undergo the pain of giving birth to it. Only by experiencing this in prayer can I reveal the true nature of sacred painting.”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20250925/father-andre-bouton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Sept. 25 (online), 26 (offline), 2025

앙드레 부통 신부 Father Andre Bouton

안동에 처음 왔을 때, “안동의 성모자상”이라는 그림이 눈길을 끌었다. 그 그림은 매우 특별했다.

안동의 성모자 그림은 안동교구 역사박물관, 바오로딸 서원, 우리 공동체 식당 등 곳곳에 걸려 있다. 그런데 나는 이 그림을 그린 화가가 누구인지 몰랐다.

올해 11월 14일까지 안동교구 교구청 3층에서 “벽화, 다시 만난 풍경”이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변화 사진전이 열리고 있다.

앙드레 부통 신부(1914-1980)는 프랑스 화가 선교사로 1966년 한국에 들어와 왜관 성베네딕도 수도원에서 활동했다. 부통 신부는 10년 동안 한국에 머무르며 창의적인 벽화 작업을 했다. 부통 신부의 화풍은 “야수파”라고 불리는데, 이는 단순하고 강렬한 원색을 이용하여 두텁고 거친 붓놀림으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이다.

부통 신부는 주로 유럽 전통을 토대로 한국 지역 생활과 문화를 표현했으며, 토착 문화와 그리스도교를 융합하여 언어를 넘어선 이미지로 그리스도교 메시지와 가르침을 전하고자 노력했다.

부통 신부는 한국적 색채와 미학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신앙을 문화로 토착화하여 예술로 승화시켰다. 판화와 도자기를 만들어 한국인의 모습과 전통, 고유한 향토색을 표현해 내기도 했다.

그 당시 한국의 전례와 성미술은 서구 중심의 권위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었기에 부통 신부의 현대적이고 파격적인 화풍은 몇몇 한국인들에게 낯설게 느껴졌다.

부통 신부는 안동교구를 중심으로 전국 성당과 공소, 공공건물의 벽에 성화를 그리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반세기가 넘도록 덧칠한 벽 뒤에 가려져 빛을 보지 못했던 한국 전통 혼례 벽화가 지난 1월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이 벽화는 현재 도시재생지원센터로 사용되고 있는 옛 안동예식장에 그려진 것이다.

대전 대흥동 (노동자 성 요셉) 성당에 10점의 벽화가 있는데, 그 가운데 8점은 1977년부터 1979년 사이에 흰색 페인트로 뒤덮여 벽 뒤에 갇혀 있었다.

몇몇 한국인 사제와 신자들이 풍성한 색채와 온화하고 아름다운 성화를 선호했기에 부통 신부의 화풍을 받아들이기가 당혹스러웠던 것 같다. 그러다 2019년 대흥동성당 설립 100주년을 맞아 성당 공동체는 부통 신부의 벽화를 모두 재현하기로 결정했다.

오늘날 부통 신부의 미술 작품은 신앙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든 시도로 재조명된다. 부통 신부의 벽화는 단순한 장식을 넘어 하느님께 드리는 관상 기도이자 신앙과 문화가 만난 깊은 성찰의 기록이다.

부통 신부는 1972년 4월 가톨릭시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성화를 그리는 화가는 인간이 볼 수 없는 하느님의 세계를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기도가 필요합니다. 나는 한 폭의 그림을 그리기 전에 반드시 그 그림을 낳는 산고를 겪습니다. 이것을 기도 속에 겪어야만 성화의 본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Father Andre Bouton 앙드레 부통 신부

When I first came to Andong, a painting entitled “Virgin Mary and Child of Andong” drew my attention. It is very specially illustra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