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Father Andre Bouton 앙드레 부통 신부

When I first came to Andong, a painting entitled “Virgin Mary and Child of Andong” drew my attention. It is very specially illustrated.

Framed copies of the painting are hung at the Andong Diocese History Museum, in the Pauline bookshop, in the dining room of our community and other places. I didn’t know about the artist who painted it.

An interesting exhibition is now on display on the third floor of the parish office of the Diocese of Andong through Nov. 14 this year, titled “Mural paintings, the landscapes we meet again.”

Father Andre Bouton (1914-1980), a French painter and missionary, came to Korea in 1966 and worked at the Order of Saint Benedict Waegwan Abbey. During his 10-year stay in Korea, he presented creative murals. His painting style is called “Fauvism” and uses simple, intense primary colors with thick and rough brush strokes.

Primarily based on European traditions, he expressed the local life and culture of Korea. He tried to combine the indigenous culture with Christianity to share Christian messages and teachings through the images, going beyond language.

He interpreted Korean colors and aesthetics in a modern way and sublimated the enculturation of faith into art. He also produced print works and ceramic pieces to illustrate the Korean people’s figures, traditions and unique colors.

At that time, liturgy and sacred art in Korea were inclined to Western-centric authoritarianism. Naturally, his modern and unconventional painting style felt unfamiliar to some Koreans.

Centering on the Diocese of Andong, he carried out his missionary work through mural paintings in the Catholic churches, stations and public halls across the country.

A mural painting about Korean traditional marriage, hidden behind a wall and thus unseen for over half a century, was unveiled in January. It was painted on the former Andong Ceremonial Hall, now used as an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In the Daeheung-dong Cathedral of St. John the Worker in Daejeon, there are 10 mural paintings. Among them, eight murals were covered in white paint, trapped in the wall between 1977 and 1979.

Probably because some of the Korean priests and believers preferred rich colors and gentle, beautiful sacred paintings, Father Bouton’s painting style would have been a source of bewilderment. However, celebrat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in 2019, the church community decided to recreate Father Bouton’s murals.

Today, his works of art are being reevaluated as an attempt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faith and art. His murals are more than mere decoration; they are contemplative prayers to God and a record of profound reflection on the encounter between faith and culture.

“Artists who paint sacred images must express the invisible world of God, so much prayer is necessary.” Fatger Bouton said in an interview with a Catholic newspaper in April, 1972. “Before I paint a single painting, I must undergo the pain of giving birth to it. Only by experiencing this in prayer can I reveal the true nature of sacred painting.”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20250925/father-andre-bouton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Sept. 25 (online), 26 (offline), 2025

앙드레 부통 신부 Father Andre Bouton

안동에 처음 왔을 때, “안동의 성모자상”이라는 그림이 눈길을 끌었다. 그 그림은 매우 특별했다.

안동의 성모자 그림은 안동교구 역사박물관, 바오로딸 서원, 우리 공동체 식당 등 곳곳에 걸려 있다. 그런데 나는 이 그림을 그린 화가가 누구인지 몰랐다.

올해 11월 14일까지 안동교구 교구청 3층에서 “벽화, 다시 만난 풍경”이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변화 사진전이 열리고 있다.

앙드레 부통 신부(1914-1980)는 프랑스 화가 선교사로 1966년 한국에 들어와 왜관 성베네딕도 수도원에서 활동했다. 부통 신부는 10년 동안 한국에 머무르며 창의적인 벽화 작업을 했다. 부통 신부의 화풍은 “야수파”라고 불리는데, 이는 단순하고 강렬한 원색을 이용하여 두텁고 거친 붓놀림으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이다.

부통 신부는 주로 유럽 전통을 토대로 한국 지역 생활과 문화를 표현했으며, 토착 문화와 그리스도교를 융합하여 언어를 넘어선 이미지로 그리스도교 메시지와 가르침을 전하고자 노력했다.

부통 신부는 한국적 색채와 미학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신앙을 문화로 토착화하여 예술로 승화시켰다. 판화와 도자기를 만들어 한국인의 모습과 전통, 고유한 향토색을 표현해 내기도 했다.

그 당시 한국의 전례와 성미술은 서구 중심의 권위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었기에 부통 신부의 현대적이고 파격적인 화풍은 몇몇 한국인들에게 낯설게 느껴졌다.

부통 신부는 안동교구를 중심으로 전국 성당과 공소, 공공건물의 벽에 성화를 그리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반세기가 넘도록 덧칠한 벽 뒤에 가려져 빛을 보지 못했던 한국 전통 혼례 벽화가 지난 1월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이 벽화는 현재 도시재생지원센터로 사용되고 있는 옛 안동예식장에 그려진 것이다.

대전 대흥동 (노동자 성 요셉) 성당에 10점의 벽화가 있는데, 그 가운데 8점은 1977년부터 1979년 사이에 흰색 페인트로 뒤덮여 벽 뒤에 갇혀 있었다.

몇몇 한국인 사제와 신자들이 풍성한 색채와 온화하고 아름다운 성화를 선호했기에 부통 신부의 화풍을 받아들이기가 당혹스러웠던 것 같다. 그러다 2019년 대흥동성당 설립 100주년을 맞아 성당 공동체는 부통 신부의 벽화를 모두 재현하기로 결정했다.

오늘날 부통 신부의 미술 작품은 신앙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든 시도로 재조명된다. 부통 신부의 벽화는 단순한 장식을 넘어 하느님께 드리는 관상 기도이자 신앙과 문화가 만난 깊은 성찰의 기록이다.

부통 신부는 1972년 4월 가톨릭시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성화를 그리는 화가는 인간이 볼 수 없는 하느님의 세계를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기도가 필요합니다. 나는 한 폭의 그림을 그리기 전에 반드시 그 그림을 낳는 산고를 겪습니다. 이것을 기도 속에 겪어야만 성화의 본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025/09/25

In Cappadocia and Meteora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Walking the pilgrimage trail in the footsteps of Saint Paul, my heart has been renewed.

Among the changes in my perception that occurred during the pilgrimage, the most vivid is Paul’s frail appearance. Most portraits or paintings illustrate Paul as resolute and determined, often holding a sword in one hand and the Gospels in the other.

However, his actual appearance is far more human. According to the guide, Paul was bald, short and stooped. He was a slight and frail figure.

Then where did his inner strength come from? Where did the inner fortitude, which allowed him to endure and persevere despite limitations and obstacles, come from?

Cappadocia in Turkey and Meteora in Greece offer a glimpse into the remarkable power of nurturing dreams and hope, no matter the circumstances. The incredible and mysterious inner strength inherent in all humans is a gift of God. And this inner power has been sustained by culture, history, natur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rofound inner strength of us all, including Paul, allows us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and move forward constantly.

Numerous underground caves are present in Cappadocia, created not by Christians but by the remnants of war. Around 1,200 B.C., the Hittite Empire fell and Asia Minor entered a dark age. As various divided kingdoms fought among themselves, the remnants had to dig underground caves for refuge.

Later, Christians fled persecution by the Roman Empire and lived in the caves for more than 1,200 years, building churches and painting murals within. In the 4th century, the place where theology and spirituality flourished was not Rome, Constantinople or the Ephesus region of Asia Minor, but the remote province of Cappadocia in central Turkey. It was here that Basil the Great, Gregory of Nazianzus and Gregory of Nyssa, known as the three Cappadocian fathers, were active.

Derinkuyu, meaning “deep well,” is a massive underground city constructed up to 120 meters underground. At present, eight levels are accessible for exploration. As the number of refugees increased, more space was needed. They constantly dug sideways and downwards, creating a labyrinth. Traces of churches, frescoes, granaries, wine cellars, artesian wells and millstones that blocked the entrances still remain.

In 1923, when Turkey became an Islamic state, Eastern Orthodox monks migrated to Greece, establishing monastic colonies on mountaintops. Mount Athos and Meteora are good examples. In Meteora, meaning “suspended in midair,” six monasteries (Great Meteoron, Varlaam, St. Stephen, Rousanou, Holy Trinity and St. Nicholas Anapausas) are still open.

The rocky peaks that formed about 60 million years ago were once part of the sea, but erosion by water and wind, tectonic movements, weathering and earthquakes revealed a spectacular array of conical stone pillars. What was once the sea is now a towering mountain. What was once a temple turned into a church, and then a mosque.

Christians migrated to the underground caves of Cappadocia, but now, Turkey is 99 percent Muslim. Christianity in Cappadocia lasted for about 1,200 years. The birthplace of Paul the Apostle and the places that he traveled endlessly for missions in Turkey are now filled with pilgrims.

Despite differences in religion, race and nationality, the inner strength that transcends human limitations flows freely, like the wind and clouds.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voiceofreaders/thoughtsofthetimes/20250917/in-cappadocia-and-meteora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September 17 (online), 18 (offline), 2025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In Cappadocia and Meteora

성 바오로의 발자취를 따라 가는 순례길을 걸으며 마음이 한층 새롭게 되었다.

순례 가운데 일어난 인식의 변화 가운데 가장 생생한 것은 바오로의 연약한 모습이다. 바오로의 얼굴이 담긴 대부분의 상본이나 그림은 단호하고 결연한 모습을 드러낸다. 한 손에는 칼을, 다른 한 손에는 복음서를 들고 의연하게 서 있는 모습도 있다.

그런데 바오로의 실제 모습은 그보다 훨씬 인간적이다. 가이드에 따르면 바오로는 대머리에 키가 작고 허리는 구부정했다. 그는 소담하고 왜소한 체형을 지녔다.

그렇다면 그의 내적 힘은 어디서 나왔을까? 한계와 걸림돌에도 한없이 견디고 인내하게 한 내적 강인함은 도대체 어디서 나왔을까?

터키(튀르키예)의 카파도키아와 그리스의 메테오라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꿈과 희망을 키워가는 놀라운 힘을 엿보게 한다. 모든 인간 안에 내재된 놀랍고도 신비로운 내적 힘은 분명 하느님의 선물이다. 이러한 내면의 힘은 문화와 역사, 자연과 물리적 환경을 통해 끊임없이 전해져 내려온다. 바오로를 비롯해 우리 모두가 지닌 심원한 내적 힘은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결같이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카파도키아에는 그리스도인들이 아니라 전쟁 패잔병들이 만들어낸 지하 동굴이 많다. 기원전 1,200년 무렵 히타이트 제국이 멸망하고 소아시아 반도가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각 지역이 갈라져 싸우면서 여러 왕국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패잔병들은 토굴을 파고 숨어 지내야 했다.

그 후 그리스도인들이 로마 제국의 박해를 피해 몰려와 1,200여 년이 넘도록 그 땅굴 속에 살면서 그 안에 교회를 세우고 벽화를 그렸다. 4세기에 신학과 영성이 활짝 꽃핀 곳은 로마나 콘스탄티노플, 소아시아의 에페소 지역이 아니라 튀르키예 중부에 자리한 외딴 속주 카파도키아였다. 바로 이곳에서 카파도키아의 삼총사 교부라고 불리는 대 바실리오, 나지안즈의 주교 그레고리오, 니싸의 주교 그레고리오가 활약했다.

"깊은 우물"이라는 뜻을 지닌 데린 쿠유는 지하 120미터까지 파고 내려간 대형 지하도시로 현재 8층까지 내려가 관람할 수 있다. 피난민들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여, 그들은 옆으로, 아래로 계속 파고 들어가 복잡한 미로를 만들었다. 교회와 프레스코 벽화, 곡물 보관소, 포도주 저장고, 지하수 우물, 입구를 막는 둥근 맷돌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

1923년 튀르키예가 이슬람 국가가 되자 동방정교회 수도자들이 모두 그리스로 이주하여 산꼭대기에 수도원 집성촌을 이루었다. 아토스 산과 메테오라가 그 좋은 예다. "공중에 매달인 바위"라는 뜻의 메테오라에는 대 메테오라, 바를라암, 성 스테파노, 루사누, 성 삼위일체, 성 니콜라스 아나파우사스 등 6개의 수도회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다.

바위 봉우리는 6천만여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물과 바람으로 인한 지각 변동과 풍화 작용, 지진을 거쳐 거대한 원뿔 모양의 돌기둥이 장관을 이룬다. 한때 바다였던 곳이 지금은 드높은 산이다. 한때 이슬람 회당이었던 곳이 성당이 되었고, 다시 모스크가 되었다.

한때 그리스도인들이 카파도키아의 지하동굴로 이주하여 살았지만, 현재 튀르키예인구의 99퍼센트가 이슬람 교도다. 카파도키아의 그리스도교는 1,20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 바오로 사도가 태어나 한없이 걸으며 선교했던 튀르키예는 이제 순례자로 가득하다.

종교가 다르고 인종이 다르며 나라가 달라도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내적 힘은 바람처럼 구름처럼 자유롭게 흘러간다.

2025/09/10

Going on a pilgrimage 순례를 하며

Pilgrims of hope. This is the motto of all Catholics around the world in celebration of the jubilee. As pilgrims of hope, 22 sisters of the Daughters of Saint Paul and two brothers of the Society of Saint Paul have embarked on a pilgrimage from Aug. 18 to Sept. 3, following the footsteps of Saint Paul, who lived and proclaimed the Good News in Turkey and Greece.

Pilgrimage is always inspiring and challenging. In celebrating the jubilee year of hope and trust, many faithful people are willing to make a pilgrimage. I believe that Saint Paul will inspire and empower our spiritual journeys, and I also believe that my remaining religious life will grow stronger through this pilgrimage.

With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religious movement for spiritual renewal is going on under the title of the year of Consecrated Life. In our congregation, the 12th General Chapter will be held in September in Rome. As if to be the underlying seed of all these religious events, we are going on a pilgrimage with hope.

I have personally renewed myself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while living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To train myself, I have regularly climbed little mountains up to the point of losing 10 kilograms. I have also tried to skip having dinner.

Furthermore, I have looked back on my whole life. Thanks to the providence of God, I could have the eyes of kindness and goodness. As I opened my inner eyes of mercy and love, I could see so many gifts alive around me. I have met so many good people in Andong.

This pilgrimage is God's unexpected gift. Thanks to the generous and thoughtful sisters in the Korean provincial community, I planned one month’s spiritual exercises and prepared for this upcoming retreat in September.

All of a sudden, one of the sisters preparing for pilgrimage injured her leg and had to wear a cast. The pilgrimage group was in need of another sister to make up for her place and I was chosen because I missed the opportunity for the pilgrimage several years ago when my fellow sisters made it.

This pilgrimage is a once-in-a-lifetime event for religious sisters, for we take turns to make it by year of profession.

Surprising gifts are sometimes hidden, but they are always given in various ways as free and unexpected providence. Giving and receiving gifts always makes us joyful and happy.

Recently, as I went to Daejeon to visit my family, I noticed a long line in front of Sungsimdang bakery in Lotte Department Store and even in Daejeon Station. It seemed that people did not mind waiting in long lines because they knew some portion of the proceeds went to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Like a long winding line in front of Sungsimdang, gifts go around with the help of good and generous people. A “cheerful giver” always gives something from the heart with joy, willingness, thanks and compassion.

“Whoever sows sparingly will also reap sparingly, and whoever sows bountifully will also reap bountifully. Each must do as already determined, without sadness or compulsion, for God loves a cheerful giver. Moreover, God is able to make every grace abundant for you, so that in all things, always having all you need, you may have an abundance for every good work.” (2 Corinthians 9:6-8)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voiceofreaders/thoughtsofthetimes/20250824/going-on-a-pilgrimage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August 24 (online), 25 (offline), 2025

순례를 하며 Going on a pilgrimage

‘희망의 순례자들’은 희년을 기념하는 세계 모든 가톨릭 신자들의 모토다. 희망의 순례자로서 성바오로딸수도회 수녀 22명과 성바오로수도회 수사 2명이 튀르키예(터키)와 그리스에 살면서 복음을 전한 성 바오로의 발자취를 따라 8월 18일부터 9월 3일까지 순례를 떠났다.

순례는 언제나 많은 영감을 주며 도전하게 한다. 희망과 믿음으로 가득한 희년을 기념하며 많은 신자가 기꺼이 순례를 떠난다. 성 바오로께서 우리의 영적 여정에 영감을 불러일으키며 힘을 불어넣어 주리라 믿는다. 또한 이 순례를 통해 앞으로 남아 있는 내 수도생활이 한층 굳건해지리라 믿는다.

한국천주교회에서는 ‘축성봉헌생활의 해’라는 이름으로 수도자들의 영적 쇄신을 위한 움직임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 우리 수도회에서는 9월에 로마에서 제12차 총회가 개최된다. 마치 이 모든 종교 활동의 밑바탕에 뿌려진 씨앗이라도 되듯 우리는 희망을 가득 안고 순례길에 나선다.

나는 올해 상반기에 경북 안동에 살면서 개인적으로 한층 새롭게 되었다. 나 자신을 단련하기 위해 나지막한 산에 꾸준히 올랐더니 몸무게가 10킬로그램 정도 빠졌고 저녁 식사도 거르려고 노력했다.

더 나아가 나는 내 삶을 돌아보면서 하느님의 섭리 덕분에 자애롭고 선의로 가득한 눈길을 가지게 되었다. 자비와 사랑으로 채워진 내면의 눈을 뜨면서 내 주변에 수많은 선물이 살아 숨 쉬고 있음을 보았다. 안동에 살면서 나는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났다.

이 순례는 하느님께서 나에게 주신 뜻밖의 선물이다. 관대하고 사려 깊은 한국 관구 공동체 수녀님들 덕분에 나는 9월에 있는 한 달 피정을 계획하고 준비해 왔다.

그런데 순례를 준비하던 수녀님 한 분이 갑자기 다리를 다쳐 깁스를 해야 했다. 그리하여 순례 그룹은 그분 자리를 메꿀 또 하나의 수녀가 필요하게 되었다. 몇 년 전, 나의 동기 수녀들이 순례를 떠났는데, 그 당시 함께할 수 없었기에 이번 기회가 나에게 주어졌다.

이 순례는 수녀들에게 평생 한 번 주어지는 각별한 행사다. 수녀들은 서원 연도별로 돌아가며 성지순례를 간다.

깜짝 선물은 때때로 숨어 있지만, 예상치 못한 섭리처럼 언제나 여러 방식으로 주어진다. 선물을 주고받는 것은 늘 우리를 기쁘고 행복하게 한다.

최근 가족을 만나러 대전에 갔을 때, 롯데백화점과 대전역에 있는 성심당 빵집 앞에 길게 늘어선 줄을 보았다. 수익금의 일부가 사회적 약자들에게 기부된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긴 줄을 서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 것 같았다.

성심당 앞에 길게 늘어선 줄처럼 선물은 선하고 관대한 사람들의 도움에 힘입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기쁘게 주는 이”는 언제나 기꺼이 기쁨과 감사와 사랑을 담아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무언가를 베푼다.

“적게 뿌리는 이는 적게 거두어들이고 많이 뿌리는 이는 많이 거두어들입니다. 저마다 마음에 작정한 대로 해야지, 마지못해 하거나 억지로 해서는 안 됩니다.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에게 모든 은총을 넘치게 주실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은 언제나 모든 면에서 모든 것을 넉넉히 가져 온갖 선행을 넘치도록 할 수 있게 됩니다.”(2코린 9,6-8)

Father Andre Bouton 앙드레 부통 신부

When I first came to Andong, a painting entitled “Virgin Mary and Child of Andong” drew my attention. It is very specially illustra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