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Doing someone a favor 호의를 베푼다는 것

When asking somebody for something, we use the expression “May I have (ask) a favor of you?”

Doing or giving a favor to others is a good habit in our lives. Doing someone a favor means doing something for others with goodwill or good intentions.

For those who are imbued with goodness by nature, it is a lot easier to do favors for people around them. Those who pursue goodness see others in a more positive and constructive way, as with the eyes of God. Thus, they do good spontaneously.

Doing someone a favor brings us consolation, joy and hope. Especially in times of difficulty and trouble, we are relieved from worries and tension when somebody does us a favor with goodwill.

Generosity, tolerance and consideration come from doing a favor. One example would be Boaz, who did a favor to Ruth, the Moabite woman, by letting her glean the wheat left behind by the harvesters in his field. Being very attentive and considerate of Ruth, Boaz said:

“Come here and have something to eat; dip your bread in the sauce … Let her glean among the sheaves themselves without scolding her, and even drop some handfuls and leave them for her to glean; do not rebuke her.” (Ruth 2:14-16) As a result, Boaz and Ruth had a good relationship.

I remember an American sister with whom I took a charism course in Rome. She was very attentive, generous, lovely and thoughtful by nature.

One day, I had to cope with a broken radiator in my room at midnight. When I woke up and put my feet down to go to the toilet, the floor was wet. I found a tiny hole in the radiator, and water was leaking out.

So I collected the water on the floor into a bucket with a dustpan and a mop. I was afraid of waking the others. For a while, I cleaned water alone. Then, hearing the noise from downstairs, that American sister woke up and came down to help me. So, we put water in the bucket together in our pajamas.

I was so glad and grateful for her willing help at night. As the day began to break, I called a senior sister to inform her of the situation in my room.

We pay back favors to one another. When I receive a favor for free, without cost, I do the same to others for free, without cost. Doing favors for others goes around and around. It is such a warm-hearted and cheerful virtue.

For several months, I have been looking back on my life and writing my life story again, in preparation for the monthlong Spiritual Exercises retreat in September. As I faced many moments like knots in a tree, I struggled and pondered on the paths I have walked.

Then, with the help of my second sister, I found the two keywords of my whole life: goodness and mercy. Thanks to God’s goodness and mercy, I am here now.

Even before I was born, God let me be with his goodness and mercy. After I was born, He took care of me with goodness and mercy. He has led me constantly with goodness and mercy throughout my life.

“Indeed, goodness and mercy will pursue me all the days of my life; I will dwell in the house of the Lord for endless days.” (Psalm 23:6)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20250720/doing-someone-a-favor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July 20 (online), 21 (offline), 2025

호의를 베푼다는 것 Doing someone a favor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청할 때 우리는 "부탁(favor) 하나 해도 될까요?" 하고 말한다.

다른 사람의 부탁(favor)을 들어주는 것, 곧 호의(favor)를 베푸는 것은 우리 삶에서 좋은 습관이다. 누군가에게 호의를 베푼다는 것은 선의 또는 선한 지향으로 이웃을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을 뜻한다.

선한 본성을 타고난 이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호의를 베푸는 것이 훨씬 쉽다. 선을 추구하는 이들은 마치 하느님의 눈길로 바라보듯 이웃을 한층 긍정적이고 건설적으로 바라본다. 그래서 그들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선을 행한다.

누군가에게 호의를 베푸는 것은 우리에게 위로와 기쁨, 희망을 준다. 특히 어려움과 고통을 겪을 때 누군가가 선의로 호의를 베풀 때 우리는 걱정 근심과 긴장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

너그러움과 관용과 배려는 호의를 베푸는 마음에서 나온다. 그 한 예는 모압 여인 룻에게 호의를 베푼 보아즈다. 보아즈는 룻에게 자기 밭에서 수확꾼들이 남긴 이삭을 줍게 함으로써 호의를 베풀었다. 보아즈는 룻에게 섬세한 마음으로 배려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리 와서 음식을 들고 빵 조각을 식초에 찍어 먹어라. … 저 여자가 보릿단 사이에서 이삭을 주어도 좋다. 그에게 무례한 짓을 하지 마라. 아예 보리 다발에서 이삭을 빼내어 그 여자가 줍도록 흘려 주어라. 그리고 그를 야단치지 마라." (룻기 2,14-16) 그 결과 보아즈와 룻은 좋은 관계를 이루었다.

로마에서 카리스마 코스에 참석하는 동안 함께 지낸 미국 수녀님이 떠오른다. 그 수녀님은 무척 섬세하고 관대하며 사랑스럽고 사려 깊은 품성을 지닌 사람이었다.

어느 날, 한밤중에 내 방에 있던 라디에이터가 고장 나서 고생한 적이 있다. 잠에서 깨어 화장실에 가려고 발을 내딛는 순간 바닥이 축축하게 젖어 있는 것을 느꼈다. 라디에이터에 작은 구멍이 생겨 그 사이로 물이 새어 나왔던 것이다.

나는 바닥에 고인 물을 쓰레받기로 퍼서 양동이에 담고 걸레로 닦아내기 시작했다. 다른 사람들을 깨울까 봐 조심스러웠다. 한동안 혼자서 고인 물을 치우고 있었는데, 마침 아래층에서 들려오는 부산한 소리를 어렴풋이 들은 미국 수녀님이 잠에서 깨어 내려와 도와주었다. 우리는 잠옷 차림으로 물을 퍼서 양동이에 담았다.

한밤중에 수녀님이 기꺼이 도와주어 무척 기쁘고 고마웠다. 날이 밝아오자 나는 어르신 수녀님께 전화하여 내 방에서 일어난 상황을 알렸다.

우리는 서로에게 호의를 베풀며 살아간다. 내가 누군가에게서 아무런 대가 없이 거저 주어진 호의를 받으면, 나 또한 다른 이들에게 아무런 대가 없이 거저 호의를 베푼다. 이웃을 위해 호의를 베푸는 일은 이처럼 돌고 돌며 되풀이된다. 호의를 베푸는 것은 참으로 따뜻하고 흐뭇한 미덕이다.

지난 몇 달 동안 나는 9월에 있을 한 달 피정을 준비하며 지나온 삶을 돌아보면서 내 삶의 역사 이야기를 썼다. 마치 나뭇가지에 생긴 옹이처럼 굳어진 숱한 순간들을 마주하며 나는 내가 걸어온 여정을 곰곰이 되돌아보며 고심했다.

그런데 둘째 언니 수녀님의 도움으로 내 삶의 두 가지 키워드를 찾아냈다. 그것은 “호의와 자애”였다. 하느님의 호의(선하심)와 자애(자비) 덕분에 나는 지금 이 순간 이 자리에 있다.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하느님은 호의와 자애로 나를 품어 존재하게 하셨다. 내가 태어난 다음에도 하느님은 호의와 자애로 나를 돌보셨다. 하느님은 이처럼 한평생 호의와 자애로 한결같이 나를 이끌어 주셨다.

“저의 한평생 모든 날에 호의와 자애만이 저를 따르리니 저는 일생토록 주님의 집에 사오리다.” (시편 23,6)

1 comment:

Doing someone a favor 호의를 베푼다는 것

When asking somebody for something, we use the expression “May I have (ask) a favor of you?” Doing or giving a favor to others is a 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