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shares English-Korean essays written by Sr. Ae-ran Kim (Mari Teresa) who belongs to the Daughters of St. Paul (FSP) living and sharing the love of God with the help of social communications. The articles in this blog were originally published by The Korea Times. Like sunshine on a beautiful day, after rain or dark clouds, a piece of sunshine aspires to shine every corner of the world with glad tidings day in and day out for the glory of God and peace to people!
2025/08/17
Sosu Seowon 소수서원
Sosu Seowon (a Korean neo-Confucian academy) is one of the most serene locations in the Sobaek mountain range in Y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It is a place that I would like to revisit. Our ancestors were clever and wise in finding such a comfortable and quiet place to train the self while reciting poems and pondering the classics.
Their underlying thoughts were on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self-training. Therefore, their basic motto for this purpose was as follows: “Morally train (cultivate) yourself, manage your household (family), govern your country (state) and then pacify the world.”
For them, personal cultivation, family management, state governance and world peace were the four steps to keep balance in life. Among the four steps for a virtuous life, personal training or moral cultivation is something like a cornerstone.
There were about 648 seowons throughout the country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Of these, 173 were located in the southeastern Gyeongsang region and 40 of them were in Andong. That is why Andong is called the “city of moral spirit” or the cultural capital of Korea.
A seowon was a dedicated institution for studying the spirit of neo-Confucianism. The impressive number of academies in Andong reveals the town's predominant scholarly spirit and desire to establish itself as a city of lifelong learning dedicated to Confucian culture.
Of all the various scholars, Toegye Yi Hwang (1502-1571) best represents neo-Confucianism. He always focused on human relationships and self-training above anything else. According to his philosophy, training the self was the fundamental thing to do before taking other actions, such as running a personal household or governing society.
As a basic way of training the self, scholars read aloud the four great books of Confucianism: “Great Learning,” “Doctrine of the Mean,” “Analects” and “Mencius.” They regarded principle (reason) and material force (vital energy or matter)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xistence.
Sosu Seowon in Yeongju was the first Confucian academy established by Chu Se-bung, the governor of Punggi County, under the name Baekundong Seowon in 1542. It was renamed to Sosu Seowon in 1550. He built a shrine to honor An Hyang, who introduced neo-Confucianism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Due to the persecution of Buddhism in the Joseon period, many Buddhist temples were closed and the buildings repurposed. Sosu Seowon was also originally a Buddhist temple, but it was re-established as an academy to help promote Confucianism.
At that time, the country was in dire need of material things, but those who were aware of the need for moral education on neo-Confucianism emphasized the necessity of building Confucian academies.
As scholars read the classics aloud at the seowon and put their virtues into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so too do Catholics read the Bible aloud, pray constantly, do spiritual exercises, practice self-examination and do charity for others.
All these efforts to train the self bring about good results. Emphasized in Galatians 5:22-23, the nine fruits of the Holy Spirit, including love, joy, peace, patie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are regarded as crucial virtues that help train the self.
Many phrases in the Bible also mention “humility” as a core virtue of spiritual life in the presence of God.
“Put on … heartfelt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 bearing with one another and forgiving one another. … Over all these, put on love … And let the peace of Christ control your hearts. … And be thankful. Let the word of Christ dwell in you richly.” (Colossians 3:12-16)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voiceofreaders/thoughtsofthetimes/20250810/sosu-seowon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August 10 (online), 11 (offline), 2025
소수서원 Sosu Seowon
소수서원(한국 성리학 교육 기관)은 경싱북도 영주시 소백산맥 자락에 자리잡은 가장 한적하고 고요한 장소 가운데 하나로 다시 한번 찾아가고 싶은 곳이다. 우리 조상들은 참으로 영특하고 지혜로워 시를 읊고 경전을 마음에 새기며 자신을 수양하기 위해 평온하고 조용한 장소를 찾았다.
조상들이 지닌 근원적 사고는 무엇보다 자기 수양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그들이 지녔던 기본 좌우명은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 治國平天下”, 다시 말해 먼저 자신을 수양한 다음 가정과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다스리라는 것이었다.
우리 조상들에게 자기 수양, 집안 다스림, 나라 통치, 그리고 세계 평화는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네 가지 단계였다. 덕스러운 삶의 네 가지 단계 가운데 자기 수양 또는 도덕적 양성은 건물의 주춧돌과 같다.
조선 시대(1392-1910)에는 전국에 648여 개의 서원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173개가 경상남도 지역에 있었고, 또 그 가운데 40개는 안동에 있었다. 이것이 바로 안동이 '유교 정신의 도시' 또는 ‘한국 정신 문화의 수도’라고 불리는 까닭이다.
서원은 성리학 정신을 깊이는 전문 학교였다. 안동에 있는 여러 서원은 안동시의 탁월한 선비 정신과 유교 문화에 헌신하는 평생 학습 도시로 자리 매김하려는 열망을 드러낸다.
여러 유교 학자들 가운데 퇴계 이황(1502-1571)은 성리학을 가장 잘 드러낸다. 인간관계와 자기 수양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 이황의 철학에 따르면, 자기 수양은 집안을 다스리거나 사회를 다스리는 것과 같은 행동을 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근본적인 일이었다.
선비들은 기본적인 자기 수양 방법으로 유교의 4대 경전인 “대학大學”, “중용中庸”,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큰소리로 낭송했으며 원리(理)와 물질(氣)을 존재의 근본 원칙으로 여겼다.
영주시에 자리한 소수서원은 1542년 풍기 군수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세운 최초의 유교 서원이었으며, 1550년에 이르러 그 이름이 소수서원으로 바뀌었다. 그는 고려 후기에 성리학을 전한 안향을 기리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
조선 시대의 불교 박해로 많은 사찰이 문을 닫자 사찰의 건물 용도 또한 바뀌었다. 소수서원 또한 원래는 불교 사찰이었는데, 유교를 가르치는 서원으로 탈바꿈되었다.
소수서원을 세울 무렵 나라는 물질적인 것들을 더 절실히 필요로 했지만, 성리학에 대한 도덕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사람들은 서원을 세우는 것이 더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선비들이 서원에서 경전을 소리 내어 읽고 일상생활에서 덕행을 실천하는 것처럼 가톨릭 신자들도 성경을 소리 내어 읽고 끊임없이 기도하며, 피정을 하고 자기 성찰을 하며 이웃을 위해 자선을 베푼다.
이처럼 자기 수양을 위해 기울이는 모든 노력은 좋은 결실을 가져온다. 갈라디아 5장 22-23절이 강조하는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 곧 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선행, 진실, 온유, 절제는 자기 수양을 돕는 주요 덕목들이다.
성경에 나오는 여러 구절 또한 하느님의 현존 앞에서 살아가는 영적 삶의 핵심 덕목으로 "겸손"을 언급한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동정과 호의와 겸손과 온유와 인내를 입으십시오. …서로 참아 주고 서로 용서해 주십시오…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입으십시오… 그리스도의 평화가 여러분의 마음을 다스리게 하십시오… 감사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그리스도의 말씀이 여러분 가운데에 풍성히 머무르게 하십시오.“(콜로새 3,12-16)
2025/08/04
Things I met this summer 이번 여름에 만난 것들
Whether I am in the bookshop or taking a walk around the winding paths in the mountain or in the street, I encounter various interesting aspects of life.
As few people come to the bookshop in the summer, I feel rewarded whenever I meet some visitors.
There is a beautiful story of hospitality offered by the generosity of Abraham and Sarah. When Abraham met three men, he ran from the entrance of the tent to greet them. Then, he humbly made a bow to the ground. He was willing to serve them with sincere respect and choice food.
Abraham said to them: “Sir, if it please you, do not go on past your servant. Let some water be brought, that you may bathe your feet, and then rest under the tree. … Let me bring you a little food, that you may refresh yourselves; and afterward you may go on your way.” (Genesis 18:3-5)
Being attentive, serving others for free with joy, and letting others be peaceful and comfortable while listening to their needs are surely the ways to happiness.
What a joy to meet a gentle and pure person who is willing to share anything he has! One day, I dropped by a store at noon, and the proprietor invited me to have something from his lunch. Looking at his simple but healthy food, I appreciated the tender consideration of his lovely wife.
There is a young man who regularly visits our bookshop. Whenever he comes, he always brings something to share, especially something to eat. He likes to talk about himself instead of buying a book. Such a person comes and goes as like the wind.
Thanks to lots of sunshine and rain, the cactus in a little flower pot in the entrance of our bookshop grew three long stems and bloomed with tiny flowers. At the same time, bidens — golden flowers of cheerfulness — are constantly blooming with yellow petals. Flowers are one of the best gifts from God.
Thanks to the opening of “Our Farm Store” near our bookshop, acquaintances drop by the bookshop with fresh bread or other necessities from time to time. Sharing is always a cheerful gift that makes us happy.
Lots of special gifts come from nature. As I climb a mountain near our accommodations every day, I enjoy listening to cicadas constantly singing in the trees. Refreshing breezes pass by as I go up and down along the tracks.
This summer, especially, I have picked lots of raspberries and mulberries in the mountains. I like to eat them because they are good for the eyes. Raspberries and mulberries are among the wild gifts of nature. Encountering them in the summer enriches my walk.
Many people enjoy walking in the mountains. There is a guy who gives passersby two pieces of coffee-flavored Kopiko candy. He says that we need sugar while walking. A little sharing makes us smile and relax.
Some people exercise with equipment established here and there throughout the mountainside. Many people are aware of the need to exercise to improve their health. My back has also been improved by using exercise equipment to twist or balance.
Some people just pass by without greeting, but I do believe they are good and thoughtful. So, each of us comes and goes.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20250803/things-i-met-this-summer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Aug. 3 (online), 4 (offline), 2025
이번 여름에 만난 것들 Things I met this summer
서점에 있든, 구불구불한 산길을 거닐거나 거리를 지나가든 나는 다채롭고 흥미로운 여러 삶의 모습들을 마주하곤 한다.
여름에는 서점에 들르는 사람이 많지 않아 이따금씩 방문객이 찾아오면 많은 보람을 느낀다.
아브라함과 사라가 관대한 마음으로 손님들을 환대하여 맞이한 아름다운 이야기가 있다. 아브라함은 자기 앞에 서 있는 세 사람을 보자 천막 어귀에서 달려나가 맞이하며 겸손하게 땅에 엎드려 절했다. 그는 진심 어린 마음으로 그들에게 존경을 표하며 가장 좋은 음식을 차려 기꺼이 대접하고자 했다.
아브라함이 세 사람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리, 제가 나리 눈에 든다면, 부디 이 종을 그냥 지나치지 마십시오 물을 조금 가져오게 하시어 발을 씻으시고, 이 나무 아래에서 쉬십시오. 제가 빵도 조금 가져오겠습니다… 원기를 돋우신 다음에 길을 떠나십시오." (창세기 18,3-5)
다가오는 사람들을 섬세하게 배려하고 기꺼이 기쁜 마음으로 섬기며 그들의 필요에 귀 기울이면서 평온하고 아늑하게 지내도록 하는 것은 참으로 행복에 이르는 길이다.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기꺼이 나누는 온화하고 순수한 사람을 만나는 것은 참으로 기쁜 일이다! 어느 날 점심 무렵 어떤 가게에 갔는데, 가게 주인이 가져온 도시락을 함께 나누려고 했다. 소박하지만 건강한 음식을 보니, 그분을 사랑하는 아내의 따뜻한 배려가 마음 깊이 와 닿았다.
우리 서점을 정기적으로 찾아오는 젊은이가 있다. 그는 서점에 올 때마다 늘 무언가 함께 나눌 수 있는 것, 특히 먹거리를 가져온다. 그는 책을 구입하기보다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런 사람은 바람처럼 오간다.
화창한 햇살과 비 덕분에 서점 입구에 둔 작은 화분에서 피어난 선인장이 세 가닥의 긴 줄기를 뻗어 작은 꽃들을 피웠다. 밝은 기쁨을 상징하는 황금빛 꽃으로 가득한 비덴스는 꽃망울을 끊임없이 드러낸다. 꽃은 하느님이 주신 가장 좋은 선물 가운데 하나다.
서점 근처에 "우리농 가게"가 생겨 이따금 지인들이 갓 구운 빵이나 생필품을 갖고 서점에 들른다. 나눔은 언제나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기분 좋은 선물이다.
자연은 특별한 선물을 많이 준다. 숙소 근처에 자리한 산에 날마다 오를 때마다 나뭇가지에서 끊임없이 노래하는 매미 소리가 정겹다. 산길을 오르내릴 때마다 선선한 바람이 스쳐 지나간다.
특히 이번 여름에는 산길을 가다 산딸기와 오디를 많이 만났다. 산딸기와 오디가 눈에 좋아 즐겨 따 먹었다. 산딸기와 오디는 자연이 준 야생 선물이다. 여름철에 산딸기와 오디를 보면 발걸음이 한층 풍요로워진다.
많은 사람이 즐거운 마음으로 산을 오른다. 지나가는 이들에게 커피향 코피코 사탕 두 개를 건네는 이도 있다. 걸을 때 당분이 필요하다고 그는 말한다. 이처럼 작은 나눔은 우리를 웃음 짓게 하며 평온하게 한다.
어떤 이들은 산비탈 곳곳에 설치된 운동 기구를 활용하여 체력을 단련한다. 많은 사람이 자기 건강을 위해 운동이 필요함을 알고 있다. 허리를 돌리거나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운동 기구 덕분에 내 허리도 많이 좋아졌다.
인사도 없이 그냥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들 또한 선하고 사려 깊다고 나는 믿는다. 이처럼 우리는 저마다 오고 또 간다.
Subscribe to:
Posts (Atom)
In Cappadocia and Meteora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Walking the pilgrimage trail in the footsteps of Saint Paul, my heart has been renewed. Among the changes in my perception that occurred...

-
By the grace of God, I was sent to other countries to live a blessed but challenging missionary life. The most merciful and generous God g...
-
In the fac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wildfires or earthquakes, human efforts can feel like a drop in the bucket. We desperately wait f...
-
What inspires us to endure and persevere in a difficult situation? What leads us to be indomitable and consistent? Some of us might t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