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2

Walking uphill 오르막길 걷기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The Lord let his face shine upon you, and be gracious to you! The Lord look upon you kindly and give you peace!” (Numbers 6:24-26) The Lord gave these blessings to Moses so that he could bless the Israelites as well. These heavenly blessings are still forwarded to us with the help of many people with goodwill.

Near our main congregation at Gangbuk District in Seoul, there are several doctors (ophthalmologist, ear & nose & throat specialist, dentist, orthopedic doctor…) who are willing to provide us with free consultations and treatments. I really appreciate their presence and goodwill to do something for others. Unless I have to go to a large general hospital, I prefer to go to a small, nearby local medical center.

After coming back to Korea, I went to a nearby surgeon to check my health condition. As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possible herniated discs, especially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vertebrae, he advised me to walk uphill. So, when I arrived at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which name means "a place of comfort in the East," I began to climb a nearby mountain called Mount Yeongnam which is only 246 meters high.

Catholic Sangji College, founded in 1970 by three religious Sisters of the Christian Doctrine (Sr. Celine Knauf, Sr. Angelin Kellen and Sr. Agnes Pompermaier), is surrounded by Mount Yeongnam, like a folding screen.

Mount Yeongnam is known as the main mountain and the best place in Andong because it contains the history and scenery of the city — in the same way that a mother embraces her children. It is such a good geomantic site, a source of positive energy.

Standing on the peak of this mountain, I can overlook the densely packed city of Andong and the gently flowing Nakdong River. Around this mountain, there are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such as Imcheonggak House (birthplace of independence activist Seokju Lee Sang-ryong, 1858-1932), Seven-story Brick Pagoda at Beopheungsa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16) and Sinsedong Mural Village with various illustrations on the walls.

In the middle of the mural village, a book cafe named “Again, here” especially provides a colorful and impressive experience.

It takes about 30 minutes to go up to the peak of Mount Yeongnam from our accommodations. The climb is very steep, but the sunlight makes it good and peaceful for walking barefoot.

It is such a joy to go up to its peak barefoot every day. It is a blessing to take a walk when the sun shines on every corner of the earth, in the forest and among traditional Korean houses.

Many of us are used to working hard while sitting on a chair in front of the computer. As a result, our working attitude causes wrist arthritis or back pain. Thus, it is necessary to do some stretching or exercise regularly. Above anything else, taking good care of our bodies is fundamental and necessary because we can’t do anything well without a healthy body.

I believe that our body is the holy temple where the Holy Spirit resides, as the first letter to Corinthians says: “Do you not know that you are the temple of God and that the Spirit of God dwells in you? … the temple of God, which you are, is holy.” (3:16-17) So, let us take good care of ourselves. Let us enjoy walking uphill.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5/01/162_390054.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January 12 (online), 13 (offline), 2025

오르막길 걷기

“주님께서 그대에게 복을 내리시고 그대를 지켜 주시리라! 주님께서 그대에게 당신 얼굴을 비추시고 그대에게 은혜를 베푸시리라! 주님께서 그대에게 당신 얼굴을 들어 보이시고 그대에게 평화를 베푸시리라!”(민수기 6,24-26) 주님께서 이처럼 모세를 축복하신 것은 모세 또한 이스라엘 백성을 축복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천상 축복은 선의를 지닌 많은 사람이 베푸는 도움의 손길을 통해 여전히 우리에게 전해진다.

서울 강북구에 자리한 우리 수도회 본원 근처에는 무료 진료와 치료를 기꺼이 해 주시는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정형외과 의사들이 있다. 이웃을 위해 무언가 좋은 일을 하고자 하는 분들의 선의와 현존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좀더 큰 종합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나는 가까이 있는 작은 병원에 가는 것을 좋아한다.

귀국한 다음 나는 수녀원 가까이 있는 외과 의사 선생님을 찾아가 건강 상태를 체크했다. 선생님은 네 번째 요추와 다섯 번째 요추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허리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 오르막길을 걸으라고 권고하셨다. 그리하여 "동쪽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을 지닌 안동에 파견된 나는 수녀원 가까이 있는 영남산에 오르기 시작했다. 영남산은 높이가 246미터에 지나지 않는 나즈막한 산이다.

1970년,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에 속한 수녀님들 세 분이(Sr. 셀린 크나우프, Sr. 안젤린 켈렌, Sr. 아녜스 폼퍼마이어) 설립한 가톨릭상지대학교는 마치 병풍처럼 늘어선 영남산에 둘러싸여 있다.

영남산은 안동의 주산이자 최고의 명당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마치 어머니가 자녀들을 품에 안듯 안동시의 역사와 풍경을 고스란히 담고 있기 때문이다. 영남산은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이자 긍정적 에너지의 원천이다.

영남산 정상에 서면 빽빽하게 들어선 안동시와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이 내려다보인다. 영남산 주변에는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1858-1932)의 탄생지인 임청각,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제16호), 담벼락에 다양한 그림을 그려 놓은 신세동 벽화마을과 같은 문화 역사 유적지가 있다.

벽화마을 한복판에 있는 "다시, 여기서Again, here”라는 이름의 북카페는 다채롭고도 인상적인 여운을 남긴다.

우리 수녀원 숙소에서 영남산 정상까지 올라가는 데는 30분쯤 걸린다. 오르막길은 무척 가파르지만 햇살이 따사로워 맨발 걷기에 좋고 편안하다.

날마다 맨발로 정상까지 오르는 것이 참 좋다. 햇살이 땅 구석구석과 숲속, 전통 한옥 사이에 드리울 때 산책하는 것은 크나큰 축복이다.

우리 가운데 많은 사람이 컴퓨터 앞에 놓인 의자에 앉아 열심히 일하곤 한다. 그 결과, 우리가 습관적으로 일하는 태도는 손목 관절염이나 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그래서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 몸을 잘 돌보는 것은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일이다. 몸이 건강하지 않으면 그 무엇도 잘 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성령께서 머무시는 거룩한 성전이라고 나는 믿는다.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3,16-17)은 이렇게 말한다. "여러분이 하느님의 성전이고 하느님의 영께서 여러분 안에 계시다는 사실을 여러분은 모릅니까? …하느님의 성전은 거룩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바로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그러니 우리 자신을 잘 돌보도록 하자. 오르막길을 즐겁게 걷자.

2024/12/26

Finding faith in Andong 안동에서 믿음을 찾다

I was recently assigned to the smallest Pauline community in Andong, a city often called the capital of moral culture, known for its 40 Confucian academies that instill a scholarly spirit. I enjoy Andong’s serene surroundings, with its pine tree-lined paths, traditional tile roofs, and rich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all adding to the moral spirit that flows along the Nakdong River.

Our Pauline Books & Media Center is located near the History Museum of the Diocese of Andong just around Mokseongdong Cathedral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ur presence in Andong reminds me of the recommendation of Fr. Giacomo Alberione, the founder of the Daughters of St. Paul, who used to say: “Always begin from the manger!”

Fr. Alberione always emphasized beginning from the crib. What does it mean by starting with the manger? According to him, it means to live humbly with a spirit of poverty while totally relying on the Providence of God.

The mystery of salvation began in the humble manger of Bethlehem, symbolizing the frontier. A small, simple, and modest presence can have profound significance, reminding us that even the smallest beginnings can lead to great transformations.

In Korea, there are 3 Catholic Archdioceses (Seoul, Daegu, and Gwangju) and 12 Dioceses (Chuncheon, Daejeon, Incheon, Suwon, Uijeongbu, Wonju, Jeju, Jeonju, Andong, Cheongju, Masan, and Busan), and the Military Ordinariate. Among them, the Diocese of Andong is the smallest and poorest ecclesiastical province.

In comparison to other dioceses, the diocese of Andong has only one male religious congregation, 16 female religious congregations, 97 priests, and 41 parishes (Catholic churches). The scale of these numbers symbolically implies the presence of people who witness the mystery of the incarnation of Jesus in the manger.

These days, I am pondering about some ways to witness the truth in the city deeply influenced by Confucianism. How can I evangelize in the city where a few people come to our center of light and truth?

Before taking any action, I first pause to reflect on my life. The more time I spend looking back on my journey, the more I realize that I have lived according to my own desires. As a religious sister, I often quoted St. Paul’s words, “It is no longer I who live, but Christ lives in me” (Galatians 2:20). Yet, in truth, it has not been Christ living through me, but rather I, myself, who have lived.

I went through a winding journey in the forest of my life. After serving the editorial sector for more than 10 years, I was sent to the mission team to experience outgoing works of evangelization to various parishes. Then, I was sent to Singapore, Rome,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my spiritual journey with twists and turns for another 10 years, I was not able to settle in one place.

Finally, I came back to Korea with a desperate heart as the lost daughter of God. Nevertheless, I have never lost hope that comes from the unconditional and merciful love of God. Hope comes from faith, love, and gratitude.

I am now starting anew, beginning from the manger. Though I am currently unfamiliar with the apostolate, I am eager to learn and become acquainted with its various aspects. Embracing something new is both exciting and challenging, as it requires time, energy, and perseverance.

As Jesus is born in the manger, I start with the manger. My life is renewed in the manger. My vocation is a gift from God. Everything is a gift from God.

“Always begin from the manger!”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2/162_389026.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December 24 (online), 25 (offline), 2024

안동에서 믿음을 찾다 Finding faith in Andong

최근 나는 가장 작은 바오로딸 공동체가 있는 안동에 파견되었다. 안동은 이른바 “정신 문화의 도시”라고 불리며, 선비 정신을 심어주는 40개의 유교 서원이 자리한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소나무들이 늘어선 오솔길, 전통적인 기와 지붕, 풍부한 문화 역사 유적지로 둘러싸인 안동의 고요한 환경이 무척 마음에 든다. 안동의 주변 환경은 낙동강을 따라 흐르는 도덕 정신을 돈독하게 한다.

바오로딸 서원은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을 주보성인으로 모신 목성동 성당 바로 옆에 자리한 안동교구 역사 박물관 가까이 있다.

안동에 머무는 바오로딸의 현존은 성바오로딸수도회의 창립자이신 야고보 알베리오네 신부님의 권고를 떠올린다. 신부님은 “언제나 구유에서 시작하십시오!" 하고 말씀하시곤 했다.

알베리오네 신부님은 구유에서 시작하라고 늘 힘주어 말씀하셨다. 구유에서 시작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신부님에 따르면 구유에서 시작한다는 것은 하느님 섭리에 온전히 의탁하면서 청빈 정신으로 겸허하게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구원의 신비는 변방(변두리)을 상징하는 베들레헴의 보잘것없는 구유(마구간)에서 시작되었다. 작고 소박하고 겸손한 존재는 깊은 의미를 지닌다. 이는 가장 작은 시작일지라도 크나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떠올린다.

한국에는 3개의 가톨릭 대교구(서울, 대구, 광주)와 12개의 교구(춘천, 대전, 인천, 수원, 의정부, 원주, 제주, 전주, 안동, 청주, 마산, 부산), 그리고 군종교구가 있다. 그 가운데 안동교구는 가장 작고 가난하다.

다른 교구들에 비해 안동교구에는 남자 수도회가 1개, 여자 수도회가 16개 진출해 있고, 97명의 사제들이 사목하며, 성당은 모두 41개다. 이러한 숫자적 규모는 구유에서 탄생하신 예수님 육화의 신비를 증거하는 사람들의 현존을 상징적으로 시사한다.

요즘 나는 유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도시에서 진리를 증언하는 방법을 곰곰이 모색하고 있다. 몇몇 사람들이 빛과 진리의 센터인 바오로딸 서원에 찾아오는 안동 한복판에서 나는 과연 어떻게 선교할 수 있을까?

어떤 일을 하기 전에 먼저 잠시 멈추어 내 삶을 돌아본다. 그동안 내가 걸어온 여정을 돌아보는 시간이 주어지면서 나는 나 자신의 열망에 따라 살아왔음을 깨닫는다. 수도자로서 나는 사도 바오로의 고백, 곧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갈라디아 2,20)이라는 말씀을 곧잘 인용했지만 실제로 내 안에서 산 것은 그리스도가 아니라 나 자신이었음을 본다.

나는 내 삶의 숲속에서 구불구불한 길을 많이 거쳐왔다. 10년이 넘도록 편집팀에서 지낸 다음 선교팀에 파견되어 여러 본당에 복음을 전했다. 그런 다음 싱가포르와 로마, 미국으로 파견되었다. 또 다른 10년 동안 우여곡절을 겪으며 영적 여정을 걸었지만 그 어느 곳에서도 정착하지 못했다.

마침내 나는 하느님의 잃었던 딸로서 절박한 심정으로 고국에 돌아왔다. 지나온 여정 가운데 나는 무조건적이고 자비로우신 하느님 사랑에서 솟아나는 희망을 잃은 적이 없다. 희망은 믿음과 사랑, 감사하는 마음에서 흘러나온다.

나는 이제 새롭게 시작한다. 구유에서 출발한다. 지금 나에게 주어진 일에 익숙하지 않지만 사도직의 여러 측면을 익히며 배운다. 무언가 새로운 일을 받아들이는 것은 흥미롭지만 도전적이다. 시간과 힘, 끈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구유에서 탄생하셨듯이 나 또한 구유에서 시작한다. 내 삶은 구유에서 새로워진다. 내 성소는 하느님의 선물이다. 모든 것이 하느님 선물이다.

"언제나 구유에서 시작하십시오!"

2024/12/14

Concerts for hope 희망을 위한 콘서트

“Impelled by the fire of the Spirit, listening to contemporary humanity, we communicate the Gospel of hope.” This is the main theme of the upcoming 12th FSP (Daughters of St. Paul) General Chapter that will be held in Ariccia, Italy, from Sept. 7 to Oct. 7, 2025. We want to live and communicate hope.

Pope Francis also proclaimed 2024 as the Year of Prayer before celebrating 2025 as Jubilee “Pilgrims of Hope.”

Because so many signs of disasters are revealed all over the world, we are concerned about the reality. Thus, we are dreaming, praying and planning to have more hope.

As an exhibitor of Pauline books, I participated in the 25th annual St. Louis Marian Conference held for three days last May 17 to 19. During this dynamic event of inspiration, faith, hope and fellowship on the theme of “the word was made flesh, dwelt amongst us,” I took a chance to listen to Eric Genuis’ music and talks in the evening concert of healing and inspiration.

Listening to his talks about suffering, I was touched by his passionate sharing. His spontaneous way of playing the piano attracted my eyes. I was so engaged in his mission of "Concerts for Hope."

What made him so enthusiastic about his music ministry? His performance with storytelling was extraordinary.

Born in Toronto, Canada, in 1967, Genuis now lives in Louisville, Kentucky. As an inspiring composer, musician, pianist and instructor, he is well-known for his Concerts for Hope.

Performing his original compositions more than a hundred times a year, he is fully dedicated to music ministry in prisons, hospitals, rehab centers, nursing homes, homeless shelters, veterans’ homes and inner-city schools. He keeps playing the piano for marginalized people because he strongly feels music can bring humanity and beauty to people. He firmly believes that music can impact culture.

Just passing by his booth with piles of various CDs, I was encouraged to see his presence giving hope through his constant music projects.

Concerts for Hope is a nonprofit organization in which Genuis seeks to bring hope and inspiration to forgotten individuals on the fringe of society.

As a captivating speaker who consoles thousands of people, he regards music as “a language with the profound ability to stir the heart, inspire the mind and awaken the soul.” He hopes that his music will “spark hope, uplift emotions, renew the spirit and resonate within the heart of our shared human experience.”

His musical career began in 1997 when he was invited to perform at an AIDS benefit in Poland in front of 15,000 people. Then, he started touring the United States. Since then, he shares a marvelous healing ministry with a talented group of musicians.

His faithful activities for marginalized people remind me of a three-minute speech by Jorge Mario Bergoglio just before being elected as Pope Francis. “Evangelizing implies apostolic zeal and presupposes a bold willingness in the church to come out of herself and to go to the peripheries, not only the geographical peripheries but also the existential ones; the mystery of sin, pain, injustice, ignorance and absence of faith, all forms of deprivation, of all forms of misery. When the church does not come out of herself to evangelize, she becomes self-referential and then becomes sick.”

*https://www.koreatimes.co.kr/www/opinion/2024/12/162_387869.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December 8 (online), 9 (offline), 2024

희망을 위한 콘서트 Concerts for hope

“성령의 불길에 이끌려 오늘날 인류에게 귀 기울이며 희망의 복음을 전합니다.” 이는 2025년 9월 7일부터 10월 7일까지 이탈리아 아리차에서 열리는 제12차 성바오로딸수도회 총회 주제다. 우리는 희망을 살고 전하고자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 또한 2025년을 “희망의 순례자들”이라는 주제로 살아가는 희년으로 기념하기에 앞서 2024년을 기도의 해로 선포했다.

온 세상에 재난의 표징이 너무 많이 드러나고 있어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대해 염려하며 더 많은 희망을 갖기 위해 꿈꾸고 기도하며 계획한다.

나는 바오로딸 도서 전시자로서 지난 5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열린 제25차 세인트루이스 마리아 대회에 참가한 적이 있다. "말씀이 사람이 되어 우리 가운데 오셨다"는 주제로 영감을 주며 믿음과 희망과 친교를 나누는 활기찬 행사가 펼쳐지는 동안 나는 치유하며 영감을 주는 저녁 콘서트를 진행한 에릭 제누이스의 음악과 강연에 귀 기울일 수 있었다.

고통에 대한 나눔을 들으며 그 열정적인 모습에 감동을 받았다. 피아노를 자유자재로 연주하는 모습이 눈길을 끌어 "희망을 위한 콘서트"를 여는 그의 사명에 몰두하며 귀 기울였다.

그가 음악 사목을 그토록 열정적으로 하게 된 동기는 무엇일까? 이야기로 엮어가는 그의 연주는 특별했다.

1967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태어난 제누이스는 지금 켄터키주 루이빌에 산다. 영감을 주는 작곡가요 음악가, 피아니스트, 강사로서 그는 “희망을 위한 콘서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1년에 100차례가 넘는 콘서트를 열어 자작곡을 연주하며 교도소, 병원, 재활 센터, 요양원, 노숙자 보호소, 재향군인 보호소, 도심 학교를 위한 음악 사목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그는 “음악이 사람들에게 인간다움과 아름다움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확신하기에 소외된 이들을 위해 피아노 연주를 계속한다. 그는 음악이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다양한 CD가 쌓인 에릭 코너를 지나가면서 나는 끊임없는 펼치는 음악 콘서트로 희망을 주는 그의 현존에 깃든 영감을 보았다.

희망을 위한 콘서트는 사회 변두리에 있는 잊힌 개개인에게 희망과 영감을 주려고 노력하는 비영리 단체다.

수많은 사람들을 위로하는 설득력 있는 연설가로서 에릭은 음악이 "마음을 흔들고 정신에 영감을 불러일으키며 영혼을 일깨우는 놀라운 힘을 지닌 언어"라고 생각한다. 그는 자신의 음악이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감성을 들어 높이고 영혼을 새롭게 하며 우리가 공유하는 인간 체험 한복판에 울려 퍼지길" 바란다.

그의 음악은 1997년 15,000명이 모인 폴란드에서 펼쳐진 에이즈 자선 행사에 초대되어 공연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이래 그는 재능 있는 음악가들과 함께 미국을 순회하며 놀라운 치유 사목을 펼치고 있다.

소외된 이들을 위해 에릭이 충실하게 펼치는 활동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가 프란치스코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에 한 3분 연설을 떠올린다. "복음화에는 사도적 열정이 수반되며 교회가 교회 밖으로 나와 지리적 변방은 물론 실존적 변방으로 가려는 대담한 의지를 전제로 합니다. 실존적 변방이란 죄, 고통, 불의, 무지, 신앙의 부재, 모든 형태의 박탈, 온갖 비참함의 신비를 말합니다. 교회가 교회 밖으로 나와 선교하지 않으면 자기 참조적이 되어 병들고 맙니다."

2024/11/28

Not quitting 포기하지 않기

When I think of a man of hope, Saint Paul the Apostle comes to my mind. Despite all the hardship and suffering he had to face and endure, he never lost hope. He never gave up his zeal for evangelization.

One day, he expressed his hardship as follows:

“I am still more, with far greater labors, far more imprisonments, far worse beatings, and numerous brushes with death. Five times at the hands of the Jews I received 40 lashes minus one. Three times I was beaten with rods, once I was stoned, three times I was shipwrecked, I passed a night and a day on the deep; on frequent journeys, in dangers from rivers, dangers from robbers, dangers from my own race, dangers from Gentiles, dangers in the city, dangers in the wilderness, dangers at sea, dangers among false brothers; in toil and hardship, through many sleepless nights, through hunger and thirst, through frequent fasting, through cold and exposure.” (2 Corinthians 11:23-27)

If I were in his shoes, what would I do? Would I be able to accept all the situations and carry my cross of life?

I still feel fragile especially when I am discouraged by negative comments and the signs of contradiction. However, through encouraging and inspiring letters, St. Paul gives us a good example of witnessing the truth without losing hope.

“We are afflicted in every way, but not constrained; perplexed, but not driven to despair; persecuted, but not abandoned; struck down, but not destroyed.” (2 Corinthians 4:8-9)

There is a poem entitled “Don’t Quit” that encourages us not to lose inner peace and hope but to go through all the situations with twists and turns. I encountered this poem among the holy cards displayed on the bookshelf in the bookshop.

“Don’t Quit” was written by Edgar A. Guest (1881-1959) who was born in England but moved to Detroit, Michigan, when he was young. He wrote about 11,000 poems and served as Michigan’s poet laureate. “Don’t Quit” first published in the Detroit Free Press on March 4, 1921, is as follows:

Don’t Quit

When things go wrong, as they sometimes will,

When the road you’re trudging seems all uphill,

When the funds are low and the debts are high,

And you want to smile, but you have to sigh,

When care is pressing you down a bit,

Rest if you must, but don’t you quit.

Life is queer with its twists and turns,

As every one of us sometimes learns,

And many a failure turns about,

When he might have won had he stuck it out;

Don’t give up though the pace seems slow—

You may succeed with another blow.

Often the goal is nearer than.

It seems to a faint and faltering man,

Often the struggler has given up,

When he might have captured the victor’s cup,

And he learned too late when the night slipped down,

How close he was to the golden crown.

Success is failure turned inside out—

The silver tint of the clouds of doubt,

And you never can tell how close you are,

It may be near when it seems so far,

So stick to the fight when you’re hardest hit—

It’s when things seem worst that you must not quit.

Thus, never give up! As Adgar recommends, take a rest when necessary, but never quit! Keep going…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1/162_387106.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November 27 (online), 28 (offline), 2024

포기하지 않기 Not quitting

희망으로 가득한 사람에 대해 생각할 때 무엇보다 사도 바오로가 떠오른다. 그가 스스로 직면하며 견뎌내야 했던 모든 어려움과 고난 속에서도 그는 결코 희망을 잃어버린 적이 없다. 그는 복음화에 대한 열정을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어느 날, 바오로는 자신이 견뎌내야 했던 고통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나는 수고도 더 많이 하였고 옥살이도 더 많이 하였으며, 매질도 더 지독하게 당하였고 죽을 고비도 자주 넘겼습니다. 마흔에서 하나를 뺀 매를 유다인들에게 다섯 차례나 맞았습니다. 그리고 채찍으로 맞은 것이 세 번, 돌질을 당한 것이 한 번, 파선을 당한 것이 세 번입니다. 밤낮 하루를 꼬박 깊은 바다에서 떠다니기도 하였습니다. 자주 여행하는 동안에 늘 강물의 위험, 강도의 위험, 동족에게서 오는 위험, 이민족에게서 오는 위험, 고을에서 겪는 위험, 광야에서 겪는 위험, 바다에서 겪는 위험, 거짓 형제들 사이에서 겪는 위험이 뒤따랐습니다. 수고와 고생, 잦은 밤샘, 굶주림과 목마름, 잦은 결식, 추위와 헐벗음에 시달렸습니다. ”(2코린토 11,23-27)

만일 내가 그와 같은 처지에 있었다면, 나는 과연 어떻게 했을까? 그 모든 상황을 받아들여 내 삶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갈 수 있을까?

특히 부정적인 말과 삶의 모순이 드러나는 모습들을 보며 낙담할 때 나는 나 자신이 여전히 연약하다고 느낀다. 하지만 끊임없이 격려하며 영감을 주는 바오로 사도의 편지는 희망을 잃지 않고 진리를 증거하는 좋은 본보기가 된다.

“우리는 온갖 환난을 겪어도 억눌리지 않고, 난관에 부딪혀도 실망하지 않으며, 박해를 받아도 버림받지 않고, 맞아 쓰러져도 멸망하지 않습니다.”(2코린토 4,8-9)

내적 평화와 희망을 잃지 않고 모든 상황의 우여곡절을 묵묵히 견뎌내라며 힘을 주는 “포기하지 마”라는 제목의 시가 있다. 나는 서가에 진열된 상본 가운데 이 시를 만났다.

"포기하지 마Don't Quit"는 영국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로 이주한 에드거 앨버트 게스트(1881-1959)가 쓴 시다. 11,000여 편의 시를 쓴 에드거는 미시간주의 계관시인이 되었다. 1921년 3월 4일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에 처음 실린 이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포기하지 마

때때로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앞길이 온통 오르막길인 것만 같을 때

돈 한 푼 없어 빚만 쌓여갈 때

웃고 싶지만 한숨만 나올 때

돌보아야 하는 부담이 자신을 억누를 때

필요하다면 쉬어, 하지만 포기하지는 마.

삶에는 굴곡이 많아 기이하기도 해

우리 모두 때때로 깨닫게 되듯

수많은 실패도 나중에 알고 보면

조금만 더 견디었더라면 극복했을 것을

걸음이 더딘 것 같아도 포기하지 마—

조금만 더 힘을 내면 성공할 수 있어

용기를 잃고 머뭇거리는 이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는 대개 더 가까이 있어

노력하던 많은 사람이 흔히 포기하였지

승리의 잔을 움켜잡을 뻔했던 바로 그때

밤의 장막이 내렸을 때 뒤늦게 알게 되지

승리의 황금 관에 얼마나 가까웠는지

성공이란 실패를 뒤집어 놓은 것—

의혹의 구름 가장자리에 빛나는 햇살

성공이 얼마나 가까운지 말할 수 없어

멀리 있는 것 같을 때 훨씬 가까운지도 몰라

그러니 무척 힘들더라도 한없이 견디며 이겨내—

최악으로 보일 때야 말로 결코 포기해서는 안 돼

그러니 결코 포기하지 말자! 에드거가 권고하듯 필요하다면 쉬더라도 멈추지는 말자! 계속 걸어 나아가자…

2024/11/20

Undoer of knots 매듭 푸는 사람

"Be a doer, not a dreamer!” It is a saying that inspires us to be a doer. The apostle James also advises us to put the words of God into practice by being “doers of the word” (James 1:22). We are encouraged to be more constructive and productive by being a faithful doer.

At the same time, we are inspired to be an undoer. What does it mean to be an undoer? In what way can we become an undoer?

Some of us might have a difficult time untangling the complicated knots of threads, hoses, and sometimes even relationships. As you know, untying knots takes a lot of time, energy, patience and prayer.

When the tangles are twisted, quick-tempered people can simply cut them away. Only those who are calm, patient and generous can undo the tangles one by one with enduring perseverance.

Solving and untangling the knots of human relationships take time and patience because relationships need considerable effort, along with an even more challenging process of understanding, acceptance, forgiveness, reconciliation and letting go.

There is a Baroque-styled painting of a woman untangling a long ribbon in the Catholic Pilgrimage Church of St. Peter and Perlach in Augsburg, Bavaria in Germany. Johann Georg Melchior Schmidtner (1625-1707) painted it around 1700, commissioned by Hieronymus Ambrosius Langenmantel.

The Blessed Virgin Mary stands on the crescent moon in this painting. The Holy Spirit in the form of a dove is above her, while angels surround her. Her foot tramples the head of a knotted snake, representing the Devil, yet Mary is focused on untying knots from a long ribbon.

Below Mary, a little human walks together with the Angel Raphael. He is interpreted as Tobias in the Book of Tobit in the Old Testament. He is also interpreted as Wolfgang Langenmantel (1586-1637), the grandfather of Hieronymus Ambrosius Langenmantel.

Wolfgang was in distress because he was going to divorce his wife, Sophia Rentz. Realizing his situation, he asked Father Jakob Rem, a Jesuit priest, to help him. So, Father Jakob prayed earnestly before the Blessed Virgin Mary to untie all the knots of their marriage life.

Immediately, they recovered peace and love in their life and avoided divorce. In memory of this healing moment, their grandson, Hieronymus, commissioned the painting of Mary as "Undoer of Knots."

This devotion of Mary as Undoer of Knots was first spread and practiced in Argentina and Brazil. Then, thanks to Pope Francis who saw this painting while visiting Germany in the 1980s after a difficult stint as a seminary rector, the devotion of Mary as Undoer of Knots began to spread widely throughout the world. Since 2013, the image of "Mary, Undoer of Knots" (1700) has become a central symbol in his pastoral activities.

A marriage ribbon is still used in weddings in many countries. Couples are tied and looped together as a sign of their new unity with each other. However, as time passes, the ribbon can be twisted and knot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tangle the conflicts among people, especially among couples on the edge of divorce.

Pope Francis said: “These knots take away our peace and serenity. They are dangerous since many knots can form a tangle — that gets more and more painful and difficult to undo.”

Realizing its danger, St. Ignatius of Loyola advises us in his Spiritual Exercises to “put a good interpretation on a neighbor’s statement” rather than condemning it.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1/162_386344.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November 19 (online), 20 (offline), 2024

매듭 푸는 사람 Undoer of knots

"꿈 꾸는 사람이 아니라 실천하는 사람(doer)이 되라!"는 말은 우리가 행동하며 실천하는 사람이 되도록 영감을 주는 격언이다. 사도 야고보 또한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야고보서 1,22)이 되어 하느님 말씀을 몸소 실천하라고 권고한다. 우리는 저마다 충실하게 실천하는 사람이 되어 더 건설적이고 생산적으로 행동하라는 부르심을 받는다.

우리는 또한 매듭 푸는 사람(undoer)이 되라는 영감을 받는데, 이는 과연 무슨 뜻일까? 어떻게 하면 매듭 푸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우리 가운데 몇몇은 복잡하게 뒤엉킨 실이나 호스, 때로는 꼬인 관계의 매듭을 푸느라 어려움을 겪는다. 실제로 매듭을 풀려면 많은 시간과 에너지, 인내와 기도가 필요하다.

얽힌 매듭이 뒤엉켜 있을 때 성급한 사람들은 매듭을 단순히 잘라 내기도 한다. 침착하고 인내심 많으며 너그러운 이들만 얽힌 매듭을 하나하나 끈기 있게 풀어갈 수 있다.

인간 관계의 매듭을 풀어 정리하려면 상당한 시간과 끈기가 필요하다. 더 나은 관계를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널리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용서하고 화해하며 흘러 보내는 고단한 여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독일 바이에른 아우크스부르크의 성 베드로 암 페를라흐 성당에 긴 리본에 있는 매듭을 푸는 여인의 모습을 그린 바로크 양식의 성화가 있다. 요한 게오르그 멜키오르 슈미트너(1625-1707)가 히에로니무스 암브로시우스 랑겐만텔의 부탁을 받아 1700년 무렵에 그린 것이다.

그 성화에는 성모님(복되신 동정 마리아)이 초승달 위에 올라서 있고, 비둘기 형상의 성령이 성모님 머리 위에 있으며, 성모님은 천사들에 둘러싸여 있다. 성모님의 발은 악마를 상징하는 꼬인 뱀의 머리를 밟고 있으며, 성모님은 긴 리본의 매듭을 푸는 데 집중하고 있다.

성모님의 발치 아래 자그마한 사람이 라파엘 대천사와 함께 걷고 있다. 그는 구약성경 토빗기에 나오는 토비야로 해석된다. 또한 히에로니무스 암브로시우스 랑겐만텔의 할아버지 볼프강 랑겐만텔(1586-1637)로 풀이되기도 한다.

볼프강은 아내 소피아 렌츠와 이혼할 위기에 처하여 몹시 괴로워하였다. 자신이 처한 위기 상황을 깨달은 볼프강은 예수회 야콥 렘 신부에게 도움을 청했다. 야콥 신부는 성모님께 간절히 기도하며 부부 사이에 묶인 모든 매듭을 풀어 매끄럽게 해 달라고 청했다.

그리하여 볼프강 부부는 이혼을 피하고 곧바로 가정의 평화와 사랑을 되찾았다. 그러자 가정의 치유에 감사드리는 뜻으로 볼프강 부부의 손자 히에로니무스는 슈미트너에게 부탁하여 “매듭을 푸시는 성모님”을 그리게 했다.

매듭을 푸시는 성모 신심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 널리 퍼졌으며, 1980년 초 신학교 학장으로서 힘든 임기를 마치고 독일을 방문하여 이 성화를 본 프란치스코 교황(당시 베르골료 신부) 덕분에 매듭을 푸시는 성모 신심이 세계 곳곳에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2013년 이래 "매듭을 푸시는 성모"(1700) 성화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목 활동에서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결혼 리본은 여전히 많은 나라의 결혼식에서 사용된다. 부부는 서로 새롭게 하나되는 표시로 한데 묶인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리본이 꼬여 매듭이 생기기에 사람들 사이의 갈등, 특히 이혼을 앞둔 부부 사이의 갈등을 풀어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렇게 말한다. "매듭은 우리 삶에서 평화와 기쁨을 앗아갑니다. 매듭이 많으면 마음과 정신을 숨 막히게 하여 위태롭습니다. 매듭이 엉켜 있으면 고통에 휩싸여 매듭 푸는 것이 더 어려워집니다."

일찍이 매듭의 위험성을 깨달은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는 “영신수련”에서 이웃의 주장을 비난하기보다 긍정적으로 "좋게 해석하는” 쪽으로 마음을 쓰라고 권고한다.

2024/10/30

Learning the virtues 미덕 익히기

Today (Oct. 20), my friend arranged to go on a pilgrimage to the Abraham Lincol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in Springfield, Illinois. All the presentations on the life of Abraham Lincoln were so lively, touching and inspiring that his life invites me to reflect on a life of integrity. Through sincere self-study, Lincoln became a man of integral virtues pursuing the ultimate freedom of every human being up to the point of the Emancipation Declaration.

How encouraging to reflect on the nine fruits of the Spirit as the integral virtues of life. St. Paul talks about the nine virtues in Galatians 5:22-23: love, joy, peace, patience, kindness, generosity,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Each of these positive valu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virtues that some of us try to pursue in our daily lives.

Some argue that “consumption is a virtue.” In today’s world, where trends and advertisements encourage us to buy far more than we need, it can seem that way. However, it’s evident that consumption is not a virtue; rather, it reflects a compulsive and habitual desire for more.

Consumption and consumerism are concepts of modern development and materialism. Together with egoism (selfishness) and hedonism (pleasure), consumption expresses individualism.

Various books are displayed in our bookshop, but the book that draws my attention most is that of virtues. Among them, I enjoy reading something about humility. Only when we are humble and gentle, we can say, “With malice toward none, with charity for all” as Abraham Lincoln said.

One of the talks that I enjoyed and appreciated much was the special lecture on virtues at Hans Urs Cardinal von Balthasar Library and Classroom in the Catholic Studies Center at Saint Louis University. Gregory R. Beabout, a professor of philosophy, led the lectures with the help of presentations by his students every Wednesday evening in September.

As Romano Guardini Chair, Professor Gregory has taught and conducted research in ethics, Kierkegaard, personalism and Catholic social thought for over 30 years. Throughout his academic career, he has tried to apply personalism and the tradition of the virtues to business and the professions.

Monsignor Romano Guardini (1885-1968), an Italian-born German priest and a Catholic educator and thinker, still inspires us a lot with his books leading us to ponder on the key virtues that make us holy and spiritual. Pope Benedict XVI and Pope Francis have often quoted his writings in their various documents and letters.

Especially, “Learning the virtues that lead you to God,” first printed in 1963, inspires us to put the virtues into practice and to make them part of our daily routine. Virtues are “something living and beautiful” that weave every single moment of our life to be more meaningful, colorful and challenging as well.

The virtues that he mentioned in this book as a direct path to the cardinal and theological virtues are: truthfulness, acceptance, patience, justice, reverence, loyalty, disinterestedness, asceticism, courage, kindness, understanding, courtesy, gratitude, unselfishness, recollection, silence and justice before God.

“Whatever is true, whatever is honorable, whatever is just, whatever is pure, whatever is lovely, whatever is gracious, if there is any excellence and if there is anything worthy of praise, think about these things. Keep on doing what you have learned and received and heard and seen in me. Then the God of peace will be with you.” (Philippians 4:8-9)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0/162_385116.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October 29 (online), 30 (offline), 2024

미덕 익히기 Learning the virtues

오늘(10월 20일) 내 친구가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에 있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뮤지엄 순례를 주선해 주었다. 에이브러햄 링컨의 생애를 기리기 위해 만든 여러 프레젠테이션은 무척 생생하고 감동적이었으며 많은 영감을 주어 참으로 온전한 삶이 무엇인지 되돌아보게 한다. 링컨은 성실하게 독학하여 노예 해방 선언을 하기까지 모든 인간의 궁극적 자유를 추구함으로써 원숙한 인품을 지닌 사람이 되었다.

온전한 삶의 덕목이라고 할 수 있는 성령의 9가지 열매를 곰곰이 되새기는 것은 참으로 많은 영감을 준다. 사도 성 바오로는 갈라디아서 5장 22-23절에서 사랑, 기쁨, 평화, 인내, 호의, 선의, 성실, 온유, 절제 등 9가지 미덕에 대해 말한다. 이처럼 긍정적인 가치들은 한결같이 우리가 일상 생활 가운데 추구하고자 하는 덕스러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어떤 이들은 "소비가 미덕"이라고 주장한다. 유행과 광고가 필요 이상으로 더 많이 구입하라고 부추기는 오늘날 세상에서는 소비가 미덕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소비는 분명 미덕이 아니라는 것은 너무나도 명확하다. 소비는 오히려 더 많은 것을 바라는 충동적이고 습관적인 욕망을 드러낸다.

소비와 소비주의는 현대 개발과 물질주의가 만들어낸 개념이다. 이기주의(이기심)와 쾌락주의(기쁨)와 함께 소비는 개인주의를 드러낸다.

우리 책방에는 여러 책이 전시되어 있는데, 내 눈길을 가장 많이 끄는 책은 미덕에 대한 것이다. 그 가운데 나는 겸손에 대한 내용을 즐겨 읽는다. 우리가 참으로 겸손하고 온유할 때 비로소 우리는 에이브러햄 링컨이 말한 것처럼 "그 누구에게도 악의를 품지 말고 모든 이를 사랑하자"고 말할 수 있다.

참으로 고맙고 즐겁게 귀 기울였던 강의 가운데 하나는 세인트루이스 대학교 가톨릭 연구 센터에 있는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추기경 도서관 교실에서 열린 미덕에 대한 특강이었다. 그레고리 R. 비어바우트 철학교수는 9월 매주 수요일 저녁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발표와 함께 강의를 진행하였다.

로마노 과르디니 의장으로서 그레고리 교수는 30년이 넘도록 윤리, 키르케고르, 인격주의, 가톨릭 사회 사상을 연구하며 가르쳐 왔다. 그는 학문을 탐구하면서 인격주의와 미덕의 전통을 기업과 전문 직업에 적용하려고 노력했다.

이탈리아 태생의 독일 사제이자 가톨릭 교육자요 사상가인 로마노 과르디니 몬시뇰(1885-1968)은 덕스러움에 대한 책에서 한결같이 우리에게 영감을 주어 우리가 거룩하고 영적인 사람이 되도록 이끄는 핵심 미덕에 대해 숙고하도록 초대한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교황 프란치스코는 여러 문서와 서한에서 자주 그의 글을 인용하기도 했다.

특히 1963년에 처음 발행된 "하느님께로 이끄는 미덕 익히기"는 우리가 덕스러움을 실천하고 일상 가운데 살아가도록 영감을 준다. 미덕은 "살아 있고 아름다운 것"으로, 우리 삶의 모든 순간을 더욱 의미 있고 다채롭게 하며 도약하게 한다.

로마노 과르디니가 이 책에서 사추덕(기본 덕목)과 향주덕(신학적 덕목)으로 이끄는 지름길로 언급한 덕목은 진실, 수용, 인내, 정의, 경외, 충실, 사심 없음, 금욕주의, 용기, 친절, 이해, 예의, 감사, 이타적 마음, 기억, 침묵, 하느님 앞에서의 의로움이다.

“참된 것과 고귀한 것과 의로운 것과 정결한 것과 사랑스러운 것과 영예로운 것은 무엇이든지, 또 덕이 되는 것과 칭송받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마음에 간직하십시오. 그리고 나에게서 배우고 받고 듣고 본 것을 그대로 실천하십시오. 그러면 평화의 하느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계실 것입니다.”(필리피서 4,8-9)

2024/10/13

Coming and going 오가며

Autumn has arrived, bringing a dramatic drop in temperatures as the seasons shift. Early in the morning when I go out to jog, I can feel a chill in the air. As I run in during the dawn and look up, shining stars are passing by.

As the autumn leaves constantly fall, we, too, shall pass away someday. We are walking step by step toward our last breath. In autumn, it is inspiring to reflect on passing away. We enjoy living every moment to the fullest, but we will have to let everything go one day.

Salvatore Joseph (Sam) Vitale, one of the board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of the Daughters of St. Paul in Saint Louis, often dropped by our Pauline Media Center to share his love and friendship with us. Whenever he came to our center, he used to ask us how to pray the liturgy of hours, how to find the alternate reading for the feast of certain saints, or which book would be good for his grandchildren.

The last time when he visited our center with his wife, Mary Anne, he wanted to have a copy of the updated “Pauline Daily Missal." She was happy to present the book as his birthday gift. Having a new prayer book might have given him a new spirit to sustain his life.

Sam has been very friendly and attentive to our needs. Even though he was struggling with cancer for the past year, he tried to share something with us. One day, he brought a bucket of large meatballs with tomato sauce that he made. The meatballs were almost five times bigger than the usual. Every Sunday, he enjoyed cooking for his family.

Recently, I wanted to contact him to inform him of my transference. However, understanding his serious condition, I just left a message with his wife. Then, I heard that he was actively dying to enter heaven. That day, our community went to pray the rosary in front of his grotto in the backyard of his house. Some of his friends and family arrived there already to pray together. That very night at 10 p.m., he passed away at the age of 72 (1952-2024).

So, we come and go. We move forward and backward like the waves in the ocean. Everything has a time. Time to live, time to die. Time to come, time to go. Time to work, time to rest. Time to pray, time to laugh. Now, it is time for me to leave what I like and enjoy with composure and gratitude.

Recently, I noticed that many things have become worn out: my socks, underwear, handkerchiefs, sandals, sneakers and eye drops. One day when I looked at myself in the mirror, I observed more wrinkles appearing around my cheeks. I am taking care of myself well, but I can’t beat the ravages of time.

I have also experienced the most challenging vertical limits in various signs of my life. Throughout the year, I have discerned the will of God for me.

As I leave the United States, I reflect on what I have learned from living in this blessed country. The most impressive thing I learned is the people’s strong sense of sharing and donation. The second thing I learned is their sense of freedom with responsibility, composure, the flexibility with less formalism.

“God loves a cheerful giver!” (2 Corinthians 9:7)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0/162_383929.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October 13 (online), 14 (offline) 2024

오가며 Coming and going

가을이 왔다. 계절이 바뀌면서 기온차가 심하여 이른 아침 조깅하러 나가면 싸늘하기만 하다. 새벽에 달리며 하늘을 바라보면 별들이 반짝이며 지나간다.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듯 우리도 언젠가는 이 세상을 떠나리라. 우리는 마지막 숨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간다. 가을은 우리 모두 언젠가 떠나리라는 것을 반추하게 한다. 우리는 저마다 순간순간 맘껏 음미하며 살아가지만 언젠가는 모든 것을 내려놓아야 한다.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바오로딸 분원 공동체 이사회 멤버인 살바토레 요셉 (샘) 비탈레는 이따금 바오로딸 미디어 센터에 들러 사랑과 우정을 나누었다. 샘은 센터에 올 때마다 성무일도로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 특정 성인 축일 독서를 어떻게 찾는지, 손주들에게 어떤 책이 좋은지 물었다.

아내 메리 앤과 함께 센터를 마지막으로 방문했을 때 샘은 개정판 "바오로딸 매일 미사 경본"을 갖기를 바랐다. 그의 아내는 새 미사 경본을 그의 생일 선물로 주며 행복해했다. 새 기도 책은 분명 그에게 삶을 지탱할 수 있는 새 기운을 불어넣어 주었으리라.

샘은 무척 친절하여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들에 주의를 기울였다. 지난 1년 동안 암과 싸우면서도 우리와 함께 무언가를 나누려고 했다. 어느 날, 그는 토마토 소스를 곁들여 손수 만든 커다란 미트볼이 가득 담긴 양동이를 가져왔다. 미트볼은 평소보다 거의 5배나 컸다. 샘은 일요일마다 가족을 위해 요리하는 것을 좋아했다.

최근 들어 나는 샘에게 내 소임 이동에 대해 알리고 싶었지만 위중한 상태인 것 같아 그의 아내에게 메시지를 남겼다. 그런데 그가 하늘나라로 가기 위해 임종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날 우리 공동체는 그의 집 뒷마당에 있는 성모동굴 앞에서 묵주 기도를 하러 갔다. 그의 몇몇 친구와 가족이 함께 기도하기 위해 모여 있었다. 바로 그날 밤 10시. 샘은 72세의 나이로 선종했다(1952-2024).

우리는 누구나 오고 간다. 파도처럼 앞뒤로 출렁이며 나아간다.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살 때와 죽을 때. 올 때와 갈 때. 일할 때와 쉴 때. 기도할 때와 웃을 때. 이제 나는 여유롭고 감사로운 마음으로 내가 좋아하며 즐기는 것들을 떠나야 한다.

최근에 나는 양말, 속옷, 손수건, 샌들, 운동화, 눈약 등 많은 것이 낡아지고 있음을 보았다. 어느 날 거울을 들여다보니 얼굴에는 주름이 더 많이 생겼다. 나는 자신을 잘 돌보는 편이지만 시간의 흐름은 어쩔 수 없다.

나는 또한 내 삶의 여러 표징 가운데 드높은 암벽 등반과 같은 자신의 한계를 체험하면서 일년 내내 나에게 하느님 뜻이 무엇인지 식별해왔다.

미국을 떠나면서 나는 이 축복받은 나라에 살면서 배운 것들을 되새긴다. 내가 배운 것 가운데 가장 감동적인 것은 나눔과 기부에 대한 사람들의 강한 의식이다. 둘째로 배운 것은 책임감을 지닌 자유 의식, 여유로움, 덜 형식적인 유연성이다.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2코린 9,7)

Walking uphill 오르막길 걷기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The Lord let his face shine upon you, and be gracious to you! The Lord look upon you kindly and give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