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햇살 한 조각
"A Piece of Sunshine" shares English-Korean essays written by Sr. Ae-ran Kim (Mari Teresa) who belongs to the Daughters of St. Paul (FSP) living and sharing the love of God with the help of social communications. The articles in this blog were originally published by The Korea Times. Like sunshine on a beautiful day, after rain or dark clouds, a piece of sunshine aspires to shine every corner of the world with glad tidings day in and day out for the glory of God and peace to people!
2025/04/01
Hoping against hope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기
In the fac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wildfires or earthquakes, human efforts can feel like a drop in the bucket. We desperately wait for rain and earnestly look for donations.
In these situations, the words of God always encourage us to “hope against hope.” (Romans 4:18)
“Do you not know? Have you not heard? The Lord is God from of old, creator of the ends of the earth. He does not faint or grow weary and his knowledge is beyond scrutiny. He gives power to the faint, abundant strength to the weak. Though young men faint and grow weary and youths stagger and fall, they that hope in the Lord will renew their strength, they will soar on eagles’ wings; They will run and not grow weary, walk and not grow faint.” (Isaiah 40:28-31)
Two Pope Francis autobiographies have recently been translated into Korean. One is “Spera” (Hope) written by Pope Francis with his editor and co-author Carlo Musso, and the other is “Life: La mia Storia nella Storia” written by Pope Francis with Fabio Marchese Ragona.
Pope Francis was born in Buenos Aires, Argentina, on Dec. 17, 1936, as the first son of Italian migrants. As a chemical technician, he studied philosophy and was ordained a priest in 1969 before joining the Jesuits in 1973. He was named auxiliary bishop in 1992, archbishop of Buenos Aires in 1998 and cardinal in 2001. On March 13, 2013, he became the 266th pope of the Catholic Church.
Pope Francis thought of publishing his autobiography, “Spera,” after his death, but he changed his mind to present it now during the Jubilee Year of Hope. Filled with stories of hope, “Spera” gives us meaningful directions and vision on how to live as pilgrims of hope.
“Spera” starts from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introducing the Italian roots that reveal his ancestors’ courageous migration to Latin America. It goes on to talk about his childhood, the enthusiasms and preoccupations of his youth, his vocation to priesthood, pastoral activities and the crucial moments of his papacy.
Most candidly and prophetically, “Spera” recalls his memories in an intimate narrative tone. It is not only about his personal life but also about war and peace, migration, environmental crisis, social policy, the position of women, sexuality,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future of the Church.
He believes that his autobiography is “a pilgrim’s bundle” that contains various stories about the journey of hope. It shares with us not only about what happened in the past but also about the future to come.
Pope Francis says that hope is “the virtue of movement and the engine of change.” Hope is “the tension that brings together memory and utopia to truly build the dreams that await us. And if a dream fades, we need to go back and dream it again, in new forms, drawing with hope from the embers of memory. We Christians must know that hope doesn’t deceive and doesn’t disappoint: All is born to blossom in an eternal springtime. In the end, we will say only: I don’t recall anything in which You are not there.”
Hope is truly the engine of change. Hope lets us survive against ups and downs. Hope inspires us to undergo the winding journey toward various forms of transformation. Hope empowers us to go on and on.
“Avanti, avanti, avanti!”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5/04/162_395295.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April 1 (online), 2 (offline), 2025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기 Hoping against hope
산불이나 지진 같은 자연 재해 앞에서 인간의 노력은 새 발의 피처럼 느껴질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간절한 마음으로 비를 기다리며 도움을 찾아 나선다.
이처럼 처절한 상황 가운데 하느님 말씀은 언제나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기"(로마 4,18)를 독려한다.
"너는 알지 않느냐? 너는 듣지 않았느냐? 주님은 영원하신 하느님, 땅끝까지 창조하신 분이시다. 그분께서는 피곤한 줄도 지칠 줄도 모르시고 그분의 슬기는 헤아릴 길이 없다. 그분께서는 피곤한 이에게 힘을 주시고 기운이 없는 이에게 기력을 북돋아 주신다. 젊은이들도 피곤하여 지치고 청년들도 비틀거리기 마련이지만 주님께 바라는 이들은 새 힘을 얻고 독수리처럼 날개 치며 올라간다. 그들은 뛰어도 지칠 줄 모르고 걸어도 피곤한 줄 모른다."(이사야 40,28-31)
프란치스코 교황이 쓴 두 권의 자서전이 최근 우리말로 번역되었다. 하나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편집인이면서 공동 저자이기도 한 카를로 무쏘와 함께 쓴 "희망”(Spera)이고, 또 다른 책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파비오 마르케세 라고나와 함께 쓴 "나의 인생”(Life: La mia Storia nella Storia"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1936년 12월 17일 이탈리아 이주민의 장남으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화학 기술자로서 그는 철학을 공부한 다음 1969년에 사제품을 받았으며 1973년 예수회에 들어갔다. 1992년 보좌주교가 되었고, 199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주교가 되었으며, 2001년 추기경이 되었다. 2013년 3월 13일, 그는 266번째 가톨릭 교황이 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사후에 자서전 "희망Spera"을 펴내리라 생각했지만, 희망의 해를 지내는 희년에 출간하기로 마음을 바꾸었다. 희망 이야기로 가득한 이 책은 희망의 순례자로서 살아가는 길에 대한 비전과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희망"은 20세기 초로 거슬러올라가 이탈리아에서 라틴 아메리카로 과감히 이주한 조부모들의 뿌리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시작한다. 그러고나서 자신의 어린 시절, 젊은 시절의 열정과 고뇌, 사제직으로의 부르심, 사목 활동과 교황으로서 직면한 의미심장한 순간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희망"은 가장 진솔하고 예언자적인 시각으로 친밀하게 이야기하듯 자신의 기억을 떠올린다. “희망”은 개인사는 물론 전쟁과 평화, 이민, 환경의 위기, 사회 정책, 여성의 지위, 성, 기술의 발전, 교회의 미래에 대해 말한다.
교황은 자신의 자서전이 희망의 여정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담은 "순례자의 보따리"라고 믿는다. “희망”은 과거에 있었던 일은 물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해서도 나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희망이 "행동을 위한 미덕이자 변화의 원동력"이라고 말한다. “희망은 우리가 간절히 기다리는 꿈을 실현하기 위해 기억과 이상을 하나로 모아 주는 힘입니다. 꿈이 흐려질 때면, 우리는 기억 속에 깃든 작은 불씨에서 희망을 피워 내어 그 꿈을 새롭게 꾸어야 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희망이 허상이 아니며 우리를 실망시키지도 않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모든 이는 영원한 봄날에 꽃을 피우려고 태어납니다. 마지막 날에 우리는 이렇게 고백할 것입니다. ‘당신께서 함께하지 않으신 순간은 제 기억 속에 없나이다.”
희망은 참으로 변화의 원동력이다. 희망은 우리가 겪는 삶의 기복을 이겨내게 한다. 희망은 여러 모습의 변화를 향해 돌고도는 여정을 거치도록 영감을 준다. 희망은 우리에게 힘을 주어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2025/03/12
Joyfully with dignity 기쁘고 떳떳하게
By the grace of God, I was sent to other countries to live a blessed but challenging missionary life. The most merciful and generous God gave me variou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omething new, inspiring and worthwhile. Nevertheless, I couldn’t endure and overcome diverse situations, and I had to come back earlier than I expected. I wasn’t able to adjust myself to missionary life that regards the communion of life as the most fundamental aspect of the religious life.
In gratitude, I tried hard with hope and enthusiasm, but I renounced everything without challenging myself in front of vertical limits. The most critical problem was resulted in touch human relationships.
I was reluctant to face reality but I listened to the inner voice. As a result, I gave up my dream to live a missionary life. Everything took much courage, faith and perseverance.
Facing my limitations, I was sent to Andong and I met the admirable Bishop Rene Dupont (1929-) who came to Korea in 1954 as a missionary priest from France. His cheerful and encouraging presence in Korea has inspired so many people. He went through the most challenging periods of Korea filled with economic poverty, lots of political and social ups and downs and marvelous transformation as well.
Bishop Dupont was ordained a priest in 1953 as a member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Since childhood, he wanted to be a priest to live like Jesus.
He served at the Diocese of Daejeon from 1955 to 1967. Then, he was ordained a bishop in 1969 and served for the sake of the Diocese of Andong up to 1990. Finally, he obtained Korean citizenship in 2019.
He always encourages us to live joyfully with dignity and gratitude. Joy is the keyword of his pastoral life, and his simple and happy presence witnesses the joy of the Gospels.
In every Catholic church or organization in Andong, there is a large stone tablet expressing the Andong Diocese Mission Statement titled “Joyfully with dignity”:
Joyfully with dignity
We live in this place
with an open mind.
We live simply,
cherish life,
share and serve one another,
and build a joyful Kingdom of God.
Truly, to build, live and proclaim the joyful Kingdom of God, what we need most is openness, simplicity, respect for life, sharing and service.
What led him to sustain his missionary life in Korea for 71 years? I believe the most inspiring inner power came from the constant communication with God and his father, who sent him a letter once a week for 30 years. Communion of life is a powerful source of energy to live joyfully with dignity.
He always kept in mind his responsibility as a lifelong missionary. He respected Korean culture and wholeheartedly supported the poor, the marginalized and the abandoned. He dedicated himself to promoting human rights for the disadvantaged and the rural farmers.
Being called the candlelight of Andong and the godfather of rural ministry, Bishop Dupont now lives at Bongyang cultural village in Uiseong. The only reason for him to settle in this village was because there was not a single Catholic there. His house is always open wide to everybody.
Living in Andong, it is such a blessed joy for us to visit him once a month for Confession. God provides everything.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5/03/162_393600.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March 11 (online), 12 (offline), 2025
기쁘고 떳떳하게 Joyfully with dignity
하느님 은총으로 나는 몇몇 나라에 파견되어 도전적이지만 축복 어린 선교사 삶을 살았다. 그지없이 자애롭고 관대하신 하느님은 나에게 여러 기회를 주시어 새롭고 가치로우며 영감을 주는 것들을 체험하게 하셨다. 그럼에도 나는 나에게 주어진 여러 상황을 견디지 못해 예상보다 일찍 되돌아왔다. 수도 생활에서 가장 근본적인 삶의 친교를 중요하게 여기는 선교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희망을 품고 열정을 다해 노력했지만 스스로 직면해야 했던 수직 한계 앞에서 나는 그만 모든 것을 내려 놓을 수밖에 없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힘겨운 대인 관계였다.
나는 현실을 바로 보지 못한 채 망설였지만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였고, 그 결과 선교사 삶에 대한 꿈을 포기했다. 그 모든 여정에는 많은 용기와 믿음, 인내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나 자신의 한계를 직면하며 안동에 파견되었는데 놀랍게도 1954년 프랑스 출신의 선교사 사제로 한국에 파견된 르네 두봉(1929-) 주교님을 만났다. 두봉 주교님은 참으로 선한 분이다. 한국에 현존하면서 늘 기쁜 마음으로 주변 사람들을 격려하는 두봉 주교님은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준다. 두봉 주교님은 경제적 빈곤, 수없이 거듭된 정치 사회적 흥망성쇠는 물론 놀라운 변화로 가득한 한국에 머물면서 가장 어려운 시기를 거쳤다.
1953년 파리외방전교회(Missions Etrangeres De Paris) 소속으로 사제품을 받은 두봉 주교님은 어렸을 때부터 사제가 되고 싶어했다. 예수님처럼 살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두봉 주교님은 1955년부터 1967년까지 대전교구에서 사목한 다음 1969년 주교로 서품되어 1990년까지 안동교구를 위해 헌신했다. 2019년에 이르러서는 한국 시민권까지 얻었다.
두봉 주교님은 언제나 기쁘고 떳떳하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라고 독려한다. 기쁨은 주교님이 펼치는 사목 활동의 핵심어다. 단순하고 쾌활한 주교님의 현존은 복음의 기쁨을 증거한다.
안동에 자리한 모든 가톨릭 교회와 단체에는 안동교구 사명선언문인 "기쁘고 떳떳하게"를 새긴 커다란 비석이 있다.
기쁘고 떳떳하게
우리는 이 터에서
열린 마음으로
소박하게 살고
생명을 소중히 여기며
서로 나누고 섬김으로써
기쁨 넘치는
하느님 나라를 일군다.
참으로 기쁨으로 가득한 하느님 나라를 세우고 살며 선포하기 위해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열린 마음과 단순함,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 나눔과 섬김이다.
두봉 주교님이 한국에 머물러 지난 71년을 한결같이 선교사로서 살아가게 한 원동력은 무엇일까? 가장 큰 영감을 주는 내적 힘은 하느님과 나눈 끊임없는 대화, 나아가 30년 동안 일주일에 한 번씩 한결같이 편지를 보낸 아버지와의 교류에서 나왔다고 믿는다. 삶의 친교는 기쁘고 떳떳하게 살아가게 하는 강력한 힘의 원천이다.
두봉 주교님은 책임감을 갖고 평생 선교사로서 살아갈 것을 늘 명심했고, 한국 문화를 존중했으며, 가난한 사람, 소외된 사람, 버림받은 사람들을 마음을 다해 지원했다. 불우한 사람들과 농부들의 인권 도모에도 헌신했다.
안동의 촛불이자 농촌 사목의 대부로 불리는 두봉 주교님은 현재 의성 봉양 문화마을에 사신다. 주교님이 이 마을에 정착한 유일한 이유는 이곳에 가톨릭 신자가 한 명도 없었기 때문이다. 주교님의 집은 언제나 모든 이에게 활짝 열려 있다.
안동에 살면서 한 달에 한 번 고해성사를 위해 주교님을 방문하는 것은 정말 크나큰 축복이다. 하느님은 모든 것을 마련해 주신다.
2025/02/27
Making the most of it 최대한 활용하기!
In the past, psychologists and spiritualists used to say that we must first look into our shortcomings (flaws) and wounds (hurts) to do our inner work. These days, however, positive psychology gives more emphasis on our strengths and other possibilities rather than looking too closely at our shortcomings and wounds.
I think both sides are right, but I prefer to concentrate on the potential possibility and spiritual hope given by the Holy Spirit. I believe in the life force inherent within us because the shadows tend to get smaller and smaller when the sun shines brighter and brighter.
We have a beam projector in our community, but nobody has used it recently. It sat quietly, without a sound in a corner of the room, like an antique.
While preparing for the Lent retreat for parishioners of Catholic Churches on the themes of “Six Ways to Overcome Temptation as Pilgrims of Hope,” I took the projector out of the wardrobe and tried to use it without fully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s. At first glance, it turned out to be good.
Then, I went out for the retreat mission in one of the little Catholic Churches. However, I realized the screen placed on top of the altar was too far from the beam projector. The words on the powerpoint presentations were visible on the screen, but they were a bit blurred since it was out of focus. I couldn’t fix the projector's focus settings by myself.
I had to apologize for the unexpected situation, but an hour and a half passed quickly. Time passed by so quickly with the help of prayers.
When I went back to the community, I checked the limits and product details of our projector and realized that it was originally made for single focus only, which means that the screen looks best if placed within 3 or 4 meters. Furthermore, this product was discontinued long ago, and the projector was already used.
At home, I placed the projector again at a short distance, and it was clear enough to see. It was supposed to be used for small communities or conference rooms.
I regret not being thorough and thoughtful enough to figure out its features before doing the mission, but the critical moments have passed by already. It was too late.
I went through trial and error, but it became a good experience so I know not to make the same mistake again. Before doing something, how important it is to know, understand and figure out not only the limitations but also the good 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or a person!
I often think of the limitations and demerits of certain things or persons first, but understanding and looking at the good points and appreciating the merits can bring about different results. It can resolve worries and concerns, releasing much tension and stress.
Everything has its virtue and excellence. Making the most of each person’s strengths and virtues always lays the cornerstone of hope. Hope never discourages us. Hope always encourages and inspires us to renew every moment and to make the most of it.
God put Abraham to the test to offer his only son Isaac. Then, on the third day, Abraham “caught sight of the place from a distance.” (Genesis 22:4) He faced the trials and temptations and went beyond the test.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5/02/162_393029.html
*The Korea Times/ Thoughts of the Times/ February 26 (online), 27 (offline), 2025
최대한 활용하기 Making the most of it!
예전 심리학자들과 영성가들은 내적 작업을 하려면 무엇보다 우리 자신의 단점(부족함)과 상처(아픔)를 잘 살펴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요즘의 긍정 심리학은 단점과 상처를 자세히 살펴보는 것보다 우리가 지닌 장점과 여러 가능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둔다.
모두 옳은 소리라고 생각하지만, 성령께서 주시는 잠재적 가능성과 영적 희망에 집중하는 것을 나는 선호한다. 우리 안에 내재된 생명력을 나는 믿는다. 태양이 드높이 떠오를수록 그림자는 조금씩 사라지기 때문이다.
우리 공동체에 빔 프로젝터가 하나 있는데 최근 들어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다. 프로젝터는 마치 골동품처럼 방 한구석에 아무런 소리도 없이 가만히 놓여 있었다.
"희망의 순례자로서 유혹을 극복하는 여섯 가지 방법"이라는 주제로 신자들을 위한 사순 피정을 준비하면서 나는 공동체에 있는 프로젝터의 특성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 장에서 꺼내 사용하려고 했다. 얼핏 보기에 괜찮았다.
그러던 어느 날 작은 성당에 피정 선교를 갔는데 제대 위에 놓인 스크린이 우리가 설치한 빔 프로젝터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다. PPT에 담긴 글이 화면에 보이긴 했지만 초점이 맞지 않아 약간 흐릿했는데 프로젝터의 초점 설정을 움직일 수 없었다.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사과드려야 했는데 한 시간 삼십분이 금세 지나가 버렸다. 지인들의 기도 덕분에 시간이 참으로 빨리 지나갔다.
공동체에 돌아와 프로젝터의 한계와 세부사항을 확인했는데, 이 프로젝터는 원래 단초점 전용으로 만들어져 스크린이 3~4미터 이내에 놓여 있을 때 가장 잘 보인다는 것을 알았다. 게다가 이 제품은 오래 전에 단종된 중고품이었다.
프로젝터를 스크린 가까이 두었더니 글이 무척 선명하게 보였다. 작은 공동체나 회의실에 적합한 제품이었던 것이다.
선교하기 전에 제품의 특성을 꼼꼼하고 사려 깊게 파악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결정적 순간은 이미 지나가버렸다. 때는 너무 늦었다.
시행착오를 거쳤지만 좋은 경험이 되었다. 이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무언가를 하기 전에 제품이나 사람의 한계는 물론 장점과 특성까지도 알고 이해하며 파악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나는 종종 특정 사물이나 사람의 한계와 단점을 먼저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좋은 면과 장점을 이해하고 살피며 인정하면 색다른 결실을 맺을 수 있다. 그럴 때 걱정과 우려가 해소되고 긴장과 스트레스까지 완화시킬 수 있다.
모든 것에는 덕스러움과 탁월함이 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장점과 미덕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언제나 희망의 초석을 놓는다. 희망은 결코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는다. 희망은 언제나 우리를 새롭게 하고 최대한 활용하도록 고무하며 영감을 준다.
하느님은 아브라함을 시험하여 외아들 이사악을 번제물로 바치게 하셨다. 사흘째 되는 날, 아브라함은 "멀리 있는 그곳을 볼 수 있었다."(창세 22,4) 아브라함은 시련과 유혹 앞에서 하느님의 시험을 통과했던 것이다.
2025/02/12
‘Jigwanseoga’ 지관서가 止觀書架
Sometimes, somebody does what I wish to do and what I can’t do by myself. It is always encouraging to see that somebody with goodwill does something for the public good.
One day, as I passed by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Museum located in Ungbu Park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a newly built house drew my attention. Under the traditionally tiled roof, a sign engraved with the words “Ji-gwan-seo-ga” in the Chinese language was displayed. “Ji-gwan” means to “pause and see or look wide” and “seo-ga” means "stacks or bookshelves." The term implies stopping for a moment, standing up straight, looking broadly inside and out, and reading a book.
Out of curiosity, I entered the long and big house and saw a book cafe on the right side near the entrance. The whole two-story space was equipped with long wooden bookshelves, filled with various books. Chairs and tables were awaiting people in open rooms with floor heating. Various books on the health of the body and the mind were displayed on the shelves surrounding the walls. The books were not for sale but for reading on the spot only.
A cafe keeper said that the Humanities Expansion Cen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umanities 360 provide book curation and content production. The open library space creation project was planned by Platon Academy, with SK Group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this library project, the local government provides idle space in its district. With good intentions, idle space turned out to be a good space that stimulates thinking, contemplation, dialogue and culture, while having a cup of tea or coffee.
At present, there are eight of these complex cultural spaces providing some moments of pause and rest across the country: six of them are located in the Ulsan area, one at Goethe Village in Yeoju and one at Ungbu Park. Each Jigwanseoga has a unique theme, and the theme of Andong is how to take care of the body and the mind.
Jigwanseoga invites us to stop for a moment despite our busy schedules filled with digital content,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and automation processes. It inspires us to open our eyes with wisdom and look around the world. It promotes harmony and balance of the body and the mind. Those who have prepared for Jigwanseoga believe that the sound mind makes the sound body.
Long ago, we talked about intelligence, virtue and physical, but nowadays we think of it in a reverse way: physical, virtue and intelligence. Physical matters come first to be concerned about.
We are used to living in a hurry without being attentive to the basic needs of our body and mind. As a result, various unexpected diseases are attacking the human body nowadays, and many people are looking for healing and rest.
To provide people with healing spaces and pleasant environments, Andong City has a vision of becoming a sustainable garden city, expanding green spaces, parks and maintaining facilities. The planning project of remodeling Andong as a sustainable garden city was chosen for the Green Infrastructure Expansion Competition Project early this year and won a large sum of funds. So, new development is going on here and there to attract more tourists.
May more people visit Andong during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to be hel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every year. Let us hope for a better environment with zero carbon!
*https://www.koreatimes.co.kr/www/opinion/2025/02/162_391858.html
*The Korea Times/ Thoughts of the Times/ Feb. 12 (online), 13 (offline), 2025
지관서가 Jigwanseoga
때때로 내가 하고 싶지만 나 혼자 힘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을 누군가가 한다. 누군가 선의를 지닌 사람이 공동선을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을 보는 것은 언제나 고무적이다.
어느 날, 경북 안동 웅부공원에 있는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을 지나가다 그 옆에 새로 지은 집이 눈에 띄었다. 전통기와 지붕 아래 '지관서가止觀書架'라는 글이 한자로 새겨진 간판이 걸려 있었다. '지관'은 '잠시 멈추어 널리 바라본다'는 뜻이고 '서가'는 '책장 또는 책꽂이'라는 뜻이다. 잠시 멈추어 바로 서서 안팎을 너르게 바라보며 책을 읽는다는 뜻이다.
어떤 건물인지 궁금하여 길게 늘어선 커다란 집에 들어서니 입구 오른쪽에 북카페가 있었다. 2층짜리 공간 전체에 나무로 만든 기다란 서가가 놓여 있었고, 각 서가마다 다양한 책이 전시되어 있었다. 열린 온돌방에 놓인 의자와 탁자는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벽을 둘러싼 서가에는 몸과 마음의 건강에 대한 다양한 책이 진열되어 있었는데, 이는 판매용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만 읽을 수 있는 열람용이다.
서울대 인문학 확장 센터와 인문360(인문정신문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이곳에 진열할 도서를 선정하고 콘텐츠를 제공한다고 카페지기는 말했다. 개방형 도서공간 조성 프로젝트는 플라톤 아카데미(비영리 재단법인)가 기획했고 SK그룹에서 재정 지원을 한다. 이와 같은 도서공간 프로젝트를 위해 지방자치는 해당 지역에 놀고 있는 유휴공간을 제공한다. 선한 지향을 지닌 사람들 덕분에 유휴공간은 차나 커피를 마시며 사유하고 관조하고 대화를 나누며 문화를 조성하는 좋은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현재 전국에 걸쳐 잠시 멈추어 쉬었다 가는 지관서가 복합 문화 공간은 8개가 있다. 그 가운데 6개는 울산 지역에, 1개는 여주 괴테마을에, 그리고 또 1개는 웅부공원에 있다. 각 지관서가는 고유한 테마(주제)를 지니는데 안동 지관서가의 테마는 몸과 마음을 돌보는 것이다.
지관서가는 디지털 콘텐츠와 인공지능(AI) 프로그램으로 가득하고 점점 자동화되는 과정으로 분주한 일정 가운데 잠시 멈추어 서도록 초대한다. 지혜의 눈을 뜨고 세상을 바라보도록 영감을 주며 몸과 마음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한다. 지관서가를 준비한 사람들은 건강한 마음이 건강한 몸을 만든다고 믿는다.
전에는 ‘지덕체’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요즘은 거꾸로 생각한다. 다시 말해, ‘체덕지’라 한다. 몸에 대한 이야기를 우선적으로 강조하는 것이다.
우리는 몸과 마음의 기본 욕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서둘러 사는 것에 익숙하다. 그 결과 오늘날 예상치 못한 여러 질병이 우리 몸을 공격하고 있어 많은 사람이 치유와 휴식을 찾아 나선다.
안동시는 사람들에게 치유 공간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정원 도시를 이루고 녹지와 공원을 확장하며 시설을 유지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안동을 지속가능한 정원 도시로 새롭게 단장하고자 하는 기획안이 올해 초 녹색인프라 확충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많은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래서 안동은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여기저기서 새로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해마다 9월과 10월 사이에 열리는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동안 더 많은 사람이 안동을 방문하기를 바란다. 탄소 배출이 없는 더 나은 환경을 희망하자!
2025/01/30
Hopeful person 희망하는 인간
There was a time in which hope was not seen in my life. Hope was hidden because of negative expressions. Discouraging comments and evaluations seemed to take away hope in my heart, but I was not discouraged at all because I had faith. I was calm and peaceful. I was able to be grateful for what I am. Reflecting on the situation, I realized that hope comes from faith. Hope doesn’t come from me. Hope comes from faith.
Courageous people witness that hope comes from faith. As pilgrims of hope, we are going on our journey toward faith, truth, joy and eternal life. We are essentially hopeful human beings. We are called to be human beings of hope.
“Hoffnungsmensch” (Homo Sperans), written by Steffen Kern, German pastor, journalist and author, was published in 2023, and its Korean translation was recently published by Pauline in 2025. With inspiring episodes and stories of hope, it invites us to reflect on hope in our daily lives and to begin again.
Kern invites us to look at the world: Over 7 million people passed away due to the coronavirus. Over 80 million refugees were displaced around the world. So many cases of sexual abuse by priests, gender issues, forest fires, wars in several countries and serious political confrontations continue to disturb us. In line with these gloomy and dark situations, global climate change is progressing day by day as if to warn the end of the world. Various crises befall us day in and day out.
Facing all these struggling realities, some people keep asking such questions: Is heaven valid? Where is the Kingdom of Hope? Will heaven come to an end? Do we still have hope? Is God alive? Can the churches keep the promise of God? Can we begin again?
Despite all the uncertain situations, Kern firmly believes that world history is “not a history of downfall but a history of God and salvation. Therefore, it is a history of hope.”
Surely, hope comes from faith. Hope always inspires us to move forward and do something for a better future. Hope lets us expect something and leads us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Hope motivates us and enlightens the power of life. Hope inspires us to trust in the providence of God and rely on the possibility of God.
With hope, we are willing to do something possible, hopeful and positive. A hopeful person is not self-centered, but he looks at others and listens to them. A hopeful person recognizes and accepts. A hopeful person sees the world with different eyes because he lives with a broad horizon.
“A hopeful person has both feet on the ground. He has a piece of heaven in his heart. He is on the ground and in heaven at the same time.”
All these inspiring stories of hope remind me of “L’Homme qui Marche 1” (life-size walking man) made in 1960 by Swiss sculptor Alberto Giacometti (1901-66). Like this walking man, we are constantly walking with hope. Going beyond all the ups and downs, we walk in hope, with hope and for hope. We walk on and on with joy and gratitude.
“Affliction produces endurance, and endurance, proven character, and proven character, hope, and hope does not disappoint, because the love of God has been poured out into our hearts through the Holy Spirit that has been given to us." (Romans 5:3-5)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5/01/162_391196.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January 30 (online), 31 (offline), 2025
희망하는 인간 Hopeful person
내 삶 가운데 희망이 보이지 않던 때가 있었다. 부정적 표현으로 희망이 가려져 있었다. 낙담하게 하는 발언과 평가가 마음속 희망을 앗아가는 듯했지만, 나는 믿음이 있었기에 실망하지 않았다. 나는 차분하고 평온했으며, 나 있는 그대로 감사드릴 수 있었다. 그 상황을 되돌아보며 나는 희망이 믿음에서 나온다는 것을 깨달았다. 희망은 나에게서 나오지 않는다. 희망은 믿음에서 온다.
용감한 사람들은 희망이 믿음에서 나옴을 입증한다. 희망의 순례자로서 우리는 믿음과 진리, 기쁨과 영원한 생명을 향한 여정을 떠난다. 우리는 본질적으로 희망하는 인간이며 희망하는 인간이 되도록 부름 받았다.
독일 목사이자 저널리스트요 작가인 슈테펜 케른이 쓴 "희망하는 인간” (Hoffnungsmensch 호모 스페란스)은 2023년에 출간되었고, 한글 번역본은 2025년 초에 바오로딸에서 나왔다. 희망에 대해 영감을 주는 에피소드와 희망 가득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책은 우리의 일상 가운데 희망을 관조하며 다시 시작하도록 이끈다.
케른은 우리에게 세상을 바라보라고 초대한다. 7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코로나바이러스로 운명을 달리했고, 세계적으로 8,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난민이 되어 이주했다. 사제들의 성학대, 젠더 문제, 산불, 몇몇 나라에서 일어난 전쟁, 심각한 정치적 대립은 끊임없이 우리를 불안하게 한다. 이처럼 암울하고 어두운 상황에 발맞추어 지구의 온난화 현상은 마치 세상의 종말을 경고하듯 나날이 진행되고 있다. 여러 위기가 날마다 우리를 찾아온다.
이처럼 힘겨운 현실 앞에서 어떤 사람들은 끊임없이 물음을 던진다. 천국은 유효한가? 희망의 왕국은 어디 있는가? 천국은 끝날 것인가? 우리에게 여전히 희망이 있는가? 하느님은 살아 계시는가? 교회는 하느님 약속을 지킬 수 있는가? 우리는 다시 시작할 수 있을까?
불확실한 온갖 상황에도 케른은 세계 역사는 "몰락의 역사가 아니라 하느님의 역사요 구원의 역사"라고 굳게 믿는다. 따라서 세계사는 희망의 역사다.
분명 희망은 믿음에서 온다. 희망은 언제나 우리에게 영감을 주어 앞으로 나아가게 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무언가를 하게 한다. 희망은 무언가를 기대하고 바라게 하며 한계를 넘어서게 한다. 희망은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며 생명의 힘을 일깨운다. 희망은 우리에게 영감을 주어 우리가 하느님의 섭리를 신뢰하고 하느님이 주시는 가능성에 의탁하게 한다.
희망이 있을 때 우리는 무언가 가능하고 희망차며 긍정적인 일을 기꺼이 한다. 희망하는 사람은 자기 중심적이지 않고 다른 이들을 바라보며 경청한다. 희망하는 사람은 인식하고 받아들인다. 희망하는 사람은 넓은 시야로 내다보며 살기에 세상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다.
"희망하는 사람은 두 발을 땅에 딛고 마음에는 천국 한 자락을 품고 있다. 땅에 있으면서 동시에 하늘에 있다.”
이처럼 영감을 주는 희망 이야기들은 스위스 조각가 알베르토 자코메티(1901-66)가 1960년에 만든 실물 크기의 “걸어가는 사람”(L'Homme qui Marche)을 떠올린다. 그 걸어가는 사람처럼 우리는 끊임없이 희망을 품고 걷는다. 온갖 기복을 넘어 우리는 희망 속에서, 희망으로, 희망을 향해 걷는다. 우리는 기쁘고 감사롭게 한결같이 걸어간다.
“환난은 인내를 자아내고, 인내는 수양을, 수양은 희망을 자아냅니다. 희망은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받은 성령을 통하여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기 때문입니다.”(로마 5,3-5)
2025/01/12
Walking uphill 오르막길 걷기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The Lord let his face shine upon you, and be gracious to you! The Lord look upon you kindly and give you peace!” (Numbers 6:24-26) The Lord gave these blessings to Moses so that he could bless the Israelites as well. These heavenly blessings are still forwarded to us with the help of many people with goodwill.
Near our main congregation at Gangbuk District in Seoul, there are several doctors (ophthalmologist, ear & nose & throat specialist, dentist, orthopedic doctor…) who are willing to provide us with free consultations and treatments. I really appreciate their presence and goodwill to do something for others. Unless I have to go to a large general hospital, I prefer to go to a small, nearby local medical center.
After coming back to Korea, I went to a nearby surgeon to check my health condition. As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possible herniated discs, especially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vertebrae, he advised me to walk uphill. So, when I arrived at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which name means "a place of comfort in the East," I began to climb a nearby mountain called Mount Yeongnam which is only 246 meters high.
Catholic Sangji College, founded in 1970 by three religious Sisters of the Christian Doctrine (Sr. Celine Knauf, Sr. Angelin Kellen and Sr. Agnes Pompermaier), is surrounded by Mount Yeongnam, like a folding screen.
Mount Yeongnam is known as the main mountain and the best place in Andong because it contains the history and scenery of the city — in the same way that a mother embraces her children. It is such a good geomantic site, a source of positive energy.
Standing on the peak of this mountain, I can overlook the densely packed city of Andong and the gently flowing Nakdong River. Around this mountain, there are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such as Imcheonggak House (birthplace of independence activist Seokju Lee Sang-ryong, 1858-1932), Seven-story Brick Pagoda at Beopheungsa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16) and Sinsedong Mural Village with various illustrations on the walls.
In the middle of the mural village, a book cafe named “Again, here” especially provides a colorful and impressive experience.
It takes about 30 minutes to go up to the peak of Mount Yeongnam from our accommodations. The climb is very steep, but the sunlight makes it good and peaceful for walking barefoot.
It is such a joy to go up to its peak barefoot every day. It is a blessing to take a walk when the sun shines on every corner of the earth, in the forest and among traditional Korean houses.
Many of us are used to working hard while sitting on a chair in front of the computer. As a result, our working attitude causes wrist arthritis or back pain. Thus, it is necessary to do some stretching or exercise regularly. Above anything else, taking good care of our bodies is fundamental and necessary because we can’t do anything well without a healthy body.
I believe that our body is the holy temple where the Holy Spirit resides, as the first letter to Corinthians says: “Do you not know that you are the temple of God and that the Spirit of God dwells in you? … the temple of God, which you are, is holy.” (3:16-17) So, let us take good care of ourselves. Let us enjoy walking uphill.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5/01/162_390054.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January 12 (online), 13 (offline), 2025
오르막길 걷기
“주님께서 그대에게 복을 내리시고 그대를 지켜 주시리라! 주님께서 그대에게 당신 얼굴을 비추시고 그대에게 은혜를 베푸시리라! 주님께서 그대에게 당신 얼굴을 들어 보이시고 그대에게 평화를 베푸시리라!”(민수기 6,24-26) 주님께서 이처럼 모세를 축복하신 것은 모세 또한 이스라엘 백성을 축복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천상 축복은 선의를 지닌 많은 사람이 베푸는 도움의 손길을 통해 여전히 우리에게 전해진다.
서울 강북구에 자리한 우리 수도회 본원 근처에는 무료 진료와 치료를 기꺼이 해 주시는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정형외과 의사들이 있다. 이웃을 위해 무언가 좋은 일을 하고자 하는 분들의 선의와 현존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좀더 큰 종합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나는 가까이 있는 작은 병원에 가는 것을 좋아한다.
귀국한 다음 나는 수녀원 가까이 있는 외과 의사 선생님을 찾아가 건강 상태를 체크했다. 선생님은 네 번째 요추와 다섯 번째 요추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허리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 오르막길을 걸으라고 권고하셨다. 그리하여 "동쪽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을 지닌 안동에 파견된 나는 수녀원 가까이 있는 영남산에 오르기 시작했다. 영남산은 높이가 246미터에 지나지 않는 나즈막한 산이다.
1970년,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에 속한 수녀님들 세 분이(Sr. 셀린 크나우프, Sr. 안젤린 켈렌, Sr. 아녜스 폼퍼마이어) 설립한 가톨릭상지대학교는 마치 병풍처럼 늘어선 영남산에 둘러싸여 있다.
영남산은 안동의 주산이자 최고의 명당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마치 어머니가 자녀들을 품에 안듯 안동시의 역사와 풍경을 고스란히 담고 있기 때문이다. 영남산은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이자 긍정적 에너지의 원천이다.
영남산 정상에 서면 빽빽하게 들어선 안동시와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이 내려다보인다. 영남산 주변에는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1858-1932)의 탄생지인 임청각,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제16호), 담벼락에 다양한 그림을 그려 놓은 신세동 벽화마을과 같은 문화 역사 유적지가 있다.
벽화마을 한복판에 있는 "다시, 여기서Again, here”라는 이름의 북카페는 다채롭고도 인상적인 여운을 남긴다.
우리 수녀원 숙소에서 영남산 정상까지 올라가는 데는 30분쯤 걸린다. 오르막길은 무척 가파르지만 햇살이 따사로워 맨발 걷기에 좋고 편안하다.
날마다 맨발로 정상까지 오르는 것이 참 좋다. 햇살이 땅 구석구석과 숲속, 전통 한옥 사이에 드리울 때 산책하는 것은 크나큰 축복이다.
우리 가운데 많은 사람이 컴퓨터 앞에 놓인 의자에 앉아 열심히 일하곤 한다. 그 결과, 우리가 습관적으로 일하는 태도는 손목 관절염이나 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그래서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 몸을 잘 돌보는 것은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일이다. 몸이 건강하지 않으면 그 무엇도 잘 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성령께서 머무시는 거룩한 성전이라고 나는 믿는다.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3,16-17)은 이렇게 말한다. "여러분이 하느님의 성전이고 하느님의 영께서 여러분 안에 계시다는 사실을 여러분은 모릅니까? …하느님의 성전은 거룩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바로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그러니 우리 자신을 잘 돌보도록 하자. 오르막길을 즐겁게 걷자.
2024/12/26
Finding faith in Andong 안동에서 믿음을 찾다
I was recently assigned to the smallest Pauline community in Andong, a city often called the capital of moral culture, known for its 40 Confucian academies that instill a scholarly spirit. I enjoy Andong’s serene surroundings, with its pine tree-lined paths, traditional tile roofs, and rich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all adding to the moral spirit that flows along the Nakdong River.
Our Pauline Books & Media Center is located near the History Museum of the Diocese of Andong just around Mokseongdong Cathedral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ur presence in Andong reminds me of the recommendation of Fr. Giacomo Alberione, the founder of the Daughters of St. Paul, who used to say: “Always begin from the manger!”
Fr. Alberione always emphasized beginning from the crib. What does it mean by starting with the manger? According to him, it means to live humbly with a spirit of poverty while totally relying on the Providence of God.
The mystery of salvation began in the humble manger of Bethlehem, symbolizing the frontier. A small, simple, and modest presence can have profound significance, reminding us that even the smallest beginnings can lead to great transformations.
In Korea, there are 3 Catholic Archdioceses (Seoul, Daegu, and Gwangju) and 12 Dioceses (Chuncheon, Daejeon, Incheon, Suwon, Uijeongbu, Wonju, Jeju, Jeonju, Andong, Cheongju, Masan, and Busan), and the Military Ordinariate. Among them, the Diocese of Andong is the smallest and poorest ecclesiastical province.
In comparison to other dioceses, the diocese of Andong has only one male religious congregation, 16 female religious congregations, 97 priests, and 41 parishes (Catholic churches). The scale of these numbers symbolically implies the presence of people who witness the mystery of the incarnation of Jesus in the manger.
These days, I am pondering about some ways to witness the truth in the city deeply influenced by Confucianism. How can I evangelize in the city where a few people come to our center of light and truth?
Before taking any action, I first pause to reflect on my life. The more time I spend looking back on my journey, the more I realize that I have lived according to my own desires. As a religious sister, I often quoted St. Paul’s words, “It is no longer I who live, but Christ lives in me” (Galatians 2:20). Yet, in truth, it has not been Christ living through me, but rather I, myself, who have lived.
I went through a winding journey in the forest of my life. After serving the editorial sector for more than 10 years, I was sent to the mission team to experience outgoing works of evangelization to various parishes. Then, I was sent to Singapore, Rome,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my spiritual journey with twists and turns for another 10 years, I was not able to settle in one place.
Finally, I came back to Korea with a desperate heart as the lost daughter of God. Nevertheless, I have never lost hope that comes from the unconditional and merciful love of God. Hope comes from faith, love, and gratitude.
I am now starting anew, beginning from the manger. Though I am currently unfamiliar with the apostolate, I am eager to learn and become acquainted with its various aspects. Embracing something new is both exciting and challenging, as it requires time, energy, and perseverance.
As Jesus is born in the manger, I start with the manger. My life is renewed in the manger. My vocation is a gift from God. Everything is a gift from God.
“Always begin from the manger!”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2/162_389026.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December 24 (online), 25 (offline), 2024
안동에서 믿음을 찾다 Finding faith in Andong
최근 나는 가장 작은 바오로딸 공동체가 있는 안동에 파견되었다. 안동은 이른바 “정신 문화의 도시”라고 불리며, 선비 정신을 심어주는 40개의 유교 서원이 자리한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소나무들이 늘어선 오솔길, 전통적인 기와 지붕, 풍부한 문화 역사 유적지로 둘러싸인 안동의 고요한 환경이 무척 마음에 든다. 안동의 주변 환경은 낙동강을 따라 흐르는 도덕 정신을 돈독하게 한다.
바오로딸 서원은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을 주보성인으로 모신 목성동 성당 바로 옆에 자리한 안동교구 역사 박물관 가까이 있다.
안동에 머무는 바오로딸의 현존은 성바오로딸수도회의 창립자이신 야고보 알베리오네 신부님의 권고를 떠올린다. 신부님은 “언제나 구유에서 시작하십시오!" 하고 말씀하시곤 했다.
알베리오네 신부님은 구유에서 시작하라고 늘 힘주어 말씀하셨다. 구유에서 시작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신부님에 따르면 구유에서 시작한다는 것은 하느님 섭리에 온전히 의탁하면서 청빈 정신으로 겸허하게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구원의 신비는 변방(변두리)을 상징하는 베들레헴의 보잘것없는 구유(마구간)에서 시작되었다. 작고 소박하고 겸손한 존재는 깊은 의미를 지닌다. 이는 가장 작은 시작일지라도 크나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떠올린다.
한국에는 3개의 가톨릭 대교구(서울, 대구, 광주)와 12개의 교구(춘천, 대전, 인천, 수원, 의정부, 원주, 제주, 전주, 안동, 청주, 마산, 부산), 그리고 군종교구가 있다. 그 가운데 안동교구는 가장 작고 가난하다.
다른 교구들에 비해 안동교구에는 남자 수도회가 1개, 여자 수도회가 16개 진출해 있고, 97명의 사제들이 사목하며, 성당은 모두 41개다. 이러한 숫자적 규모는 구유에서 탄생하신 예수님 육화의 신비를 증거하는 사람들의 현존을 상징적으로 시사한다.
요즘 나는 유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도시에서 진리를 증언하는 방법을 곰곰이 모색하고 있다. 몇몇 사람들이 빛과 진리의 센터인 바오로딸 서원에 찾아오는 안동 한복판에서 나는 과연 어떻게 선교할 수 있을까?
어떤 일을 하기 전에 먼저 잠시 멈추어 내 삶을 돌아본다. 그동안 내가 걸어온 여정을 돌아보는 시간이 주어지면서 나는 나 자신의 열망에 따라 살아왔음을 깨닫는다. 수도자로서 나는 사도 바오로의 고백, 곧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갈라디아 2,20)이라는 말씀을 곧잘 인용했지만 실제로 내 안에서 산 것은 그리스도가 아니라 나 자신이었음을 본다.
나는 내 삶의 숲속에서 구불구불한 길을 많이 거쳐왔다. 10년이 넘도록 편집팀에서 지낸 다음 선교팀에 파견되어 여러 본당에 복음을 전했다. 그런 다음 싱가포르와 로마, 미국으로 파견되었다. 또 다른 10년 동안 우여곡절을 겪으며 영적 여정을 걸었지만 그 어느 곳에서도 정착하지 못했다.
마침내 나는 하느님의 잃었던 딸로서 절박한 심정으로 고국에 돌아왔다. 지나온 여정 가운데 나는 무조건적이고 자비로우신 하느님 사랑에서 솟아나는 희망을 잃은 적이 없다. 희망은 믿음과 사랑, 감사하는 마음에서 흘러나온다.
나는 이제 새롭게 시작한다. 구유에서 출발한다. 지금 나에게 주어진 일에 익숙하지 않지만 사도직의 여러 측면을 익히며 배운다. 무언가 새로운 일을 받아들이는 것은 흥미롭지만 도전적이다. 시간과 힘, 끈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구유에서 탄생하셨듯이 나 또한 구유에서 시작한다. 내 삶은 구유에서 새로워진다. 내 성소는 하느님의 선물이다. 모든 것이 하느님 선물이다.
"언제나 구유에서 시작하십시오!"
Subscribe to:
Posts (Atom)
Hoping against hope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기
In the fac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wildfires or earthquakes, human efforts can feel like a drop in the bucket. We desperately wait f...

-
Each of us has dreams. Dreams motivate and inspire us to pursue our goals constantly with hope and perseverance. Dreams let us go beyond l...
-
Whenever I went to church with my devout mother, her first act of faith was to put her hands together to pray in front of Blessed Mary sta...
-
Sr. Barbara Gerace is the eldest sister in our community. Going toward her 80s, she is a bit worried about her condition but she is sti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