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햇살 한 조각
"A Piece of Sunshine" shares English-Korean essays written by Sr. Ae-ran Kim (Mari Teresa) who belongs to the Daughters of St. Paul (FSP) living and sharing the love of God with the help of social communications. The articles in this blog were originally published by The Korea Times. Like sunshine on a beautiful day, after rain or dark clouds, a piece of sunshine aspires to shine every corner of the world with glad tidings day in and day out for the glory of God and peace to people!
2025/11/22
Gratitude tree branch 감사 나뭇가지
감사 나뭇가지
오랫동안 나뭇가지에
'감사'를 새긴 일죽 강대한
새기고 또 새기다 보니
어느 사이 달린 열매들
"온화함, 평온함, 친절
나눔, 내어 줌, 기쁨..."
살아낸 굴곡 끝에 맺은
삶의 비결, 그것은 감사!
Gratitude tree branch
For a long time, Iljuk Daehan Kang
carved "thanks" on tree branches.
As he kept carving,
the fruits grew without knowing it.
"Gentleness, peace, kindness,
sharing, giving out, joy..."
Gratitude is the secret to life
after the twists and turns of life he lived!
*Iljuk: the nickname of Daehan Kang, means one bamboo
2025/11/18
Mount Cheongnyang 청량산
When I went for a mission at Galjeon Matia Catholic Church, one volunteer who welcomed us recommended Mount Cheongnyang Provincial Park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s a good spot to hike.
I looked for an opportunity to go hiking, but I couldn’t find time. Finally, thanks to the consideration of the community, I was able to have a free day, so I took a city bus and a taxi to get there.
First, I dropped by Cheongnyang Temple, built in 663 by Buddhist monk Wonhyo (617-686) during the Silla period. There are three treasured Buddha statues in this temple.
During the Silla period, there were 27 Buddhist hermitages on Mount Cheongnyang thanks to the revival of Buddhism. At that time, even the 12 mountain peaks of Mount Cheongnyang were named in the Buddhist style, but as Buddhism declined, their names were changed to a more Confucian style.
Anyhow, then and now, climbing a mountain while appreciating the natural scenery and the wonders of the landscape is still a cultural activity that strengthens and inspires the body and mind while providing good energy.
Mental, physical and spiritual cultivation were the goals of scholars, along with academic pursuits. Traveling to famous mountains was a dream of many scholars. They searched for renowned mountains, especi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Mountain tourism in the Joseon period covered Mounts Geumgang, Jiri, Cheongnyang, Sogni, Gaya, Baekdu and Halla.
Mount Cheongyang's highest peak is Janginbong at 870 meters. It was frequented by scholars, particularly in the 17th century, and they left impressive travelogues.
As I walked along the mountain trails, I found that Mount Cheongnyang is filled with interesting legends, historical relics and stories. The panoramic views of 12 peaks, eight caves and four wells creates fantastic landscapes.
Many scholars of the Joseon period, including Ju Se-bung (1495-1554), a civil official and governor of Punggi Province, and Toegye Yi Hwang (1502-1571), considered Mount Cheongnyang to be a famous mountain, comparable to the Wuyi Mountains in China, frequented by the philosopher, writer and historian Zhou Xi (1130-1200). Toegye regarded Mount Cheongnyang as a paradise where scholars could escape reality, enjoy leisure time and hone the mind through reading books.
At the age of 13, Toegye used to study at the Confucian academy Osandang on Mount Cheongnyang, walking along the Yedeon trail near the Nakdong River. The trails are now called “Toegye’s path of contemplatio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76 B.C.-935 A.D.), Kim Saeng,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calligraphy, lived in seclusion in a cave on the mountain for 10 years to develop his writing skills. As a result, he became a renowned calligrapher.
Confucian scholar Choi Chi-won (857-900) also read the books and played the ancient game of go (baduk) on this mountain. As a sacred place of Confucianism, Mount Cheongnyang was a center of study and Righteous Army activities.
King Gongmin (1330-1374), the 31st King of Goryeo, also stopped by Mount Cheongnyang while taking refuge in Andong as he fled the Red Turban invasions.
Various stories and legends enrich the historic presence of mountains. Nature has so many impressive stories and touching wonders. Just walking on and on along the mountain trails, I feel refreshed, renewed and inspired in many ways.
“Let the earth bless the Lord … Mountains and hills, bless the Lord … Everything growing on earth, bless the Lord … You springs, bless the Lord … Seas and rivers, bless the Lord … All you birds of the air, bless the Lord.” (Daniel 3:74-80)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editorial/20251118/mount-cheongnyang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Nov. 18 (online), 19 (offline), 2025
청량산 Mount Cheongnyang
갈전마티아 성당에 선교 갔을 때, 우리를 반겨 맞이한 자원봉사자가 경북 청량산 도립 공원을 추천하며 등산하기 좋은 산이라고 했다.
등산할 기회를 찾았으나 틈이 나지 않았는데, 마침내 공동체의 배려로 자유의 날을 누리게 되어 시내버스와 택시를 타고 청량산에 이르렀다.
먼저, 신라 시대 원효대사(617-686)가 663년에 세운 청량사에 들렸다. 청량사에는 국가 보물 또는 유형문화재로 등록된 불상이 세 개나 있다.
신라 시대에는 불교가 흥하여 청량산에 27개의 암자가 있었다. 당시 청량산의 12봉도 불교식으로 불렸으나 불교가 쇠퇴하면서 유교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예나 지금이나 자연 경관과 경이로운 풍경을 감상하며 산을 오르는 것은 훌륭한 문화 활동으로 몸과 마음을 단련하고 영감을 주며 좋은 기운을 불어넣는다.
선비들의 목표는 학문적 탐구는 물론 정신적, 신체적, 영적 수양이었다. 명산을 찾아 떠나는 여행은 많은 선비들의 꿈이었다. 특히 조선시대(1392-1910)에 선비들은 명산을 두루 찾아다녔다. 조선시대의 산악 관광은 금강산, 지리산, 청량산, 속리산, 가야산, 백두산, 한라산을 아우른다.
청량산의 최고봉은 장인봉으로 해발 870미터다. 특히 17세기에 선비들은 청량산을 유람하며 인상적인 여행기를 남겼다.
산길을 따라 거닐며 청량산에는 흥미로운 전설과 역사적 보물과 이야기들이 가득함을 알았다. 청량산의 12봉, 8개의 굴, 4개의 우물과 폭포가 자아내는 탁 트인 전망은 환상적인 풍경을 펼쳐 보여준다.
풍기 군수 주세붕(1495-1554)과 퇴계 이황(1502-1571)을 비롯한 조선시대의 여러 선비들은 청량산을 철학가요 문필가이며 역사가인 주자(1130-1200)가 자주 찾았던 중국 무이산에 버금가는 명산으로 여겼다. 퇴계는 청량산을 선비들이 현실에서 벗어나 여유를 맛보고 책을 읽으며 마음을 닦는 낙원으로 여겼다.
퇴계는 열세 살 때 청량산 오산당에서 공부하며 낙동강 물줄기를 따라 예던길을 거닐곤 했는데, 이 길은 이제 “퇴계의 사색길”이라 불린다.
통일신라 시대(기원전 676년~기원후 935년) 4대 문필가 가운데 한 사람인 김생은 10년 동안 청량산의 한 동굴에 머물며 글솜씨를 갈고 닦아 명필가가 되었다.
유학자 최치원(857~900) 또한 청량산에서 책을 읽으며 바둑을 두었다. 유교의 성지로서 청량산은 학문과 의병 활동의 중심지였다.
고려 31대 공민왕(1330~1374) 또한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안동으로 피난 가던 중 청량산에 들렸다.
산에 얽힌 여러 이야기와 전설은 산의 역사적 현존을 한층 풍요롭게 한다. 자연에는 감동적인 이야기와 경이로운 설화가 가득하다. 산길을 따라 한없이 걷고 또 걷다 보면 여러 면에서 상쾌해지고 새롭게 되며 영감을 받는다.
“땅아, 주님을 찬미하여라… 산과 언덕들아, 주님을 찬미하여라… 땅에서 싹트는 것들아, 모두 주님을 찬미하여라… 샘들아, 주님을 찬미하여라… 바다와 강들아, 주님을 찬미하여라… 하늘의 새들아 모두 주님을 찬미하여라.”(다니엘 3, 74-80)
2025/11/07
Missionaries of hope 희망의 선교사
As sincere and active Christians, we are all missionaries of hope.
What does it mean to be a missionary of hope? To me, being a missionary of hope in our ordinary life means saying and doing something in an encouraging, positive and inspiring way.
I think that the positive way of talking to others with warm-hearted kindness, composure, generosity and a sense of humor is the springboard towards being and living as a missionary of hope.
How can we become missionaries of hope? How can we give and witness hope to people around us?
“Missionaries of Hope among all Peoples” is the motto of World Mission Day on October 19, part of Jubilee Year 2025. The central message of World Mission Day is “hope,” for we are desperately and sincerely seeking hope all over the world.
The message for World Mission Day points out various symptoms of human crisis, noting “a widespread sense of bewilderment, loneliness and indifference to the needs of the elderly, a reluctance to make an effort to assist our neighbors in need, being interconnected through highly developed technology without being truly related, obsession with efficiency, an attachment to material things and ambitions, being self-centered and egoistic.”
Recognizing the serious signs of problems in our society, the late Pope Francis sincerely shared his message for World Mission Day, which he wrote last January, before his death this past April.
In this message, he urges all people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ommon evangelizing mission of the Church by witness of life and prayer, by sacrifices and by generosity.”
For the sake of witness of life and prayer through sacrifices and generosity, Pope Francis invites all of us to carry out the works of merc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oorest and weakest, the sick, the elderly, the needy, the afflicted and those excluded from materialistic and consumerist society.
His message is divided into three main theme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Christ, our hope; Christians as bearers and builders of hope among all the peoples; and renewing the mission of hope.
In short, to be missionaries of hope is an urgent call to action for the vulnerable, as revealed i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Luke 10:25-37). Moved with compassion, a Samaritan traveler came upon a victim and took care of him with mercy.
Truly, the fundamental vocation of every Christian is to be bearers of hope, messengers and builders of hope, like the Samaritan, in the footsteps of Christ, our hope.
How can we renew the mission of hope in our lives? According to Pope Francis, the best way to renew the mission of hope in a communitarian process of evangelization is prayer.
Above all, the missionaries of hope are men and women of prayer. Prayer based on the Word of God, particularly the Psalms, is the primary attitude required of a missionary, as we can see in the life of Saint Therese and many other saints.
By healing and forgiving sins, Jesus restored and became the divine missionary of hope. In following Jesus Christ, our hope, we are also called to be bearers, restorers and builders of hope among unhappy humanity.
“They that hope in the Lord will renew their strength, they will soar on eagles’ wings; They will run and not grow weary, walk and not grow faint.” (Isaiah 40:31)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editorial/20251106/missionaries-of-hope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Nov 6 (online), 7 (offline), 2025
희망의 선교사 Missionaries of hope
진실하고 활기찬 신앙인으로서 우리는 누구나 희망의 선교사다.
희망의 선교사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뜻일까? 희망의 선교사가 된다는 것은 일상 가운데 서로 격려하고 긍정적으로 대하고 영감을 주며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따뜻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친절과 여유로움, 관대함과 유머 감각을 지니고 이웃에게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희망의 선교사로서 살아가는 디딤돌이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희망의 선교사가 될 수 있을까? 어떻게 우리 주변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며 삶으로 증언할 수 있을까?
“모든 민족을 위한 희망의 선교사”는 2025년 희년에 맞이한 10월 19일 전교 주일의 주제다. 전교 주일의 핵심 메시지는 희망이다. 세계 곳곳에서 참으로 절박한 심정으로 희망을 찾아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전교 주일 담화는 인간이 마주한 위기의 심각한 증상들, 곧 “팽배한 혼란, 노인의 고독과 버려짐, 어려운 이웃을 돕기를 주저하는 태도, 고도로 발달된 기술로 상호 접속되어 있지만 서로 관계 맺고 있지 않음, 효율성과 물질과 야망에 대한 집착, 자기 중심적이고 이기적인 태도”를 언급한다.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의 심각한 증상들을 인지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4월에 선종하기 전인 1월에 전교 주일 담화를 발표하여 진지하게 나누었다.
전교 주일 메시지에서 교황은 모든 이에게 “삶과 기도를 통한 증언, 희생과 너그러운 마음으로 교회의 공통된 복음화 사명”에 적극 동참할 것을 고무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희생과 관대함을 통한 삶의 증언과 기도를 위해 무엇보다 자비를 베풀며 실천하도록 우리 모두를 초대한다. 특히 가장 가난하고 약한 이들, 병자들, 노인들, 도움이 필요한 이들, 고통받는 이들, 물질적이고 소비적인 사회에서 배제된 이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길 희망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메시지는 우리의 희망이신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르기, 만민을 위한 희망의 전달자이자 건설자인 그리스도인 되기, 희망의 사명을 새롭게 하기 등 세 가지 핵심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 희망의 선교사가 된다는 것은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루카 10,25-37)가 말하듯 취약한 이들을 위해 행동하라는 시급한 요청이다. 여행을 하던 사마리아인은 피해자를 보고 가엾은 마음이 들어 자비를 베풀며 돌보아주었다.
참으로 모든 그리스도인의 근본적 소명은 사마리아인처럼 우리의 희망이신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라 희망의 전령이요, 희망의 전달자이자 건설자가 되는 것이다.
우리 삶 가운데 희망을 전하는 사명을 어떻게 새롭게 할 수 있을까? 프란치스코 교황에 따르면 복음화의 공동체적 과정에서 희망의 사명을 새롭게 하는 가장 좋은 길은 무엇보다 기도다.
희망의 선교사는 무엇보다 기도하는 사람이다. 하느님의 말씀, 특히 시편을 바탕으로 한 기도는 선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태도인데, 이는 소화 데레사 성인의 삶을 비롯한 여러 성인들의 삶에서 엿볼 수 있다.
예수님은 사람들을 치유하고 죄를 용서해 줌으로써 회복시켜 희망을 전하는 거룩한 선교사가 되셨다. 우리 또한 우리의 희망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라 불행한 인류에게 희망을 전하고 회복시키며 건설하는 사람들이 되라는 부르심을 받고 있다.
“주님께 바라는 이들은 새 힘을 얻고 독수리처럼 날개 치며 올라간다. 그들은 뛰어도 지칠 줄 모르고 걸어도 피곤한 줄 모른다.” (이사야 40,31)
2025/10/23
WYD kick-off ceremony in Andong 세계청년대회 안동교구 발대식
In preparation for the 2027 Seoul World Youth Day (WYD), the kick-off ceremony and Youth Festival for the Roman Catholic Diocese of Andong was held near the Andong Mask Dance Performance Hall on Oct.12, under the theme, “Take courage. I have conquered the world.” (John 16:33).
Following the first World Youth Day held in Rome in 1986, the 2027 Seoul WYD marks the 41st WYD. Seoul WYD is the second to be held in Asia, following the 1995 Manila WYD in the Philippines, making it a truly meaningful event for Koreans.
Nowadays, young people live amidst various conflicts and struggles. Many young people struggle with challenges such as an intense, competitive academic environment, uncertain employment prospects, economic hardships and increasing mental health issues like suicide.
Recognizing this reality, the Pope invites young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to a specific region every four years to engage in a truly special encounter and to inspire life-changing experiences. It is hoped that young people, the leaders of future generations, will rediscover their faith through WYD events.
WYD hopes that young people will experience the joy and the unconditional love of living as pilgrims of hope who put the Good News of the Gospels into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come an opportunity for our Church to become more youthful, vibrant and growing.
The WYD main conference will be held in each of the 15 dioceses in Korea from July 29 to Aug. 2, 2027, and the main conference in Seoul will be held from Aug. 3 to 8.
For the Andong kick-off ceremony, approximately 600 people participated, including Sunday school students, youth and local residents. The first part of the event was a youth festival featuring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booths and performances. The second part featured the ceremony and Mass, followed by a performance by PAX, the Catholic Life Hymn Apostles.
During Mass, young people offered a transparent acrylic cross filled with yellow prayer papers for God, each with their hopes and dreams. Through the Mass, held with the relics of Saint Carlo Acutis, we prayed that all young people will follow his example and live an earnest life of faith.
The Diocese of Andong is divided into six regions (Bukbu, Donghae, Sangju, Mungyeong, Uiseong and Andong), and the relics of Saint Acutis, the “first millennial saint,” will tour each region for three months, starting Oct. 19.
As part of the youth festival programs, the Pauline sisters held a Carlo Acutis quiz contest from 10:00 a.m. to 12:30 p.m., and approximately 130 youth and young adults participated.
The life of Carlo Acutis, who passed away in 2006 at the age of 15, was truly marvelous. We pray that the youth will deepen their devotion to the Blessed Sacrament and the Virgin Mary. We hope that the seeds of vocation will grow through the intercession of Saint Carlo Acutis.
Our encounters were a moment of experiencing the grace-filled hands of God’s providence.
We are deeply grateful to all who generously supported us so we could present quiz gifts for the Carlo Acutis Quiz Contest.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voiceofreaders/thoughtsofthetimes/20251023/wyd-kick-off-ceremony-in-andong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October 23 (online), 24 (offline), 2025
세계청년대회 안동교구 발대식 WYD kick-off ceremony in Andong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 World Youth Day)를 향한 안동교구대회 발대식과 청소년 축제가 10월 12일, “용기를 내어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요한 16.33)라는 주제로 안동 탈춤공연장 일대에서 개최되었다.
1986년 로마에서 열린 제1차 세계청년대회에 이어 2027년 서울에서 개최되는 WYD는 어느덧 41차를 맞이한다. 1995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세계청년대회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 번째로 펼쳐지는 세계청년대회라서 한국인으로서 무척 뜻깊은 행사다.
오늘날 젊은이들은 여러 갈등과 고민 속에 휩싸여 살아간다. 경쟁적이고 치열한 학업 분위기, 불안한 취업 전망, 경제적 어려움, 자살과 같이 갈수록 늘어나는 정신 건강의 위기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여 고군분투하는 젊은이들이 참 많다.
이처럼 젊은이들이 직면한 현실을 인식한 교황은 4년마다 세계 젊은이들을 특정 지역으로 초대하여 매우 특별한 만남을 갖고 인생을 뒤바꾸는 체험을 하도록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세계청년대회를 통해 미래 세대의 주역인 젊은이들이 신앙의 열정을 되찾기를 간절히 소망하기 때문이다.
세계청년대회를 통해 젊은이들이 복음의 기쁜 소식을 그들의 일상 가운데 실천하는 희망의 순례자로 살아가는 기쁨과 조건 없는 사랑을 체험하기를 소망한다. 또한 이러한 만남을 통해 우리 교회가 한층 젊어지고 활기차며 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한국의 각 교구(모두 15개)에서 열리는 WYD 본대회는 2027년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열리고, 서울에서 열리는 본대회는 8월 3일부터 8월 8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안동교구 발대식에는 주일학교 초중고 학생과 청년, 지역 주민 등 600여 명이 참가했다. 제1부는 청소년 축제 마당으로 다채로운 문화 체험과 놀이 코너(부스)가 마련되었고, 제2부에서는 발대식과 발대미사에 이어 가톨릭 생활성가 찬양사도단 PAX의 콘서트가 펼쳐졌다.
젊은이들은 하느님께 바라는 희망과 꿈을 적은 노란 기도 종이로 채워진 투명 아크릴 십자가를 미사 때 봉헌했다. 카를로 아쿠티스 성인의 유해를 모시고 드린 발대식 미사에서 우리는 모든 젊은이가 아쿠티스 성인의 귀감을 따라 한층 진지한 신앙생활을 하기를 기도했다.
안동교구는 북부, 동해, 상주, 문경, 의성, 안동 등 모두 6개 지구로 나누어져 있는데, 최초의 밀레니얼 성인인 아쿠티스 성인 유해는 10월 19일부터 3개월씩 각 지구를 순회한다.
청소년 축제 프로그램 가운데 바오로딸 수녀들은 오전 10시부터 12시 30분까지 카를로 아쿠티스 퀴즈대회를 진행했는데, 모두 130여 명의 청소년과 청년들이 참여했다.
2006년, 15살에 선종한 카를로 아쿠티스의 삶은 참으로 놀랍기만 하다. 청소년과 청년들 안에 성체 신심과 성모 신심이 깊어지길 기도하며 카를로 아쿠티스 성인의 전구로 성소의 씨앗이 자라나길 희망한다.
우리의 만남은 참으로 은혜로운 하느님 섭리의 손길을 체험하는 순간이었다.
카를로 아쿠티스 퀴즈대회를 위해 퀴즈 선물을 마련하도록 호의를 갖고 관대하게 협력해 주신 많은 분께 마음 깊이 감사드린다.
2025/10/12
Many faces 다양한 얼굴
“A Cultural Dance that Unites the World” was the theme of the 29th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2025, held from Sept. 26 to Oct. 5 at Jungang Line 1942 Andong Station and Talchum (traditional mask dance) Park.
Another slogan is “Dancing Mask, Finding Various Faces.” This slogan reminds me of various hidden faces in our lives, identities and personalities. Various masks have always reflected the joys and sorrows of humanity beyond time and culture across the countries in the world.
As a representative Korean cultural festival, this annual event is hosted and organized by the Korean Foundation for Cultures and Ethics. It is also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s well as the Korean Heritage Service.
Dance teams from 26 countries from across six continents are participating this year. Seventeen of them are Korean and 29 teams are international. With various programs for performance, competition, participation, exhibition, personal experiences and special food experiences,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has maintained its top position among more than 1,500 festivals held in Korea every year.
This year, Italy has been chosen as the festival's highlight country, marking the 141st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Italy.
A mask is more than just a cover for the face. It is not only a symbol that captures and inspires universal human emotion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but also a cultural expression that transforms social or political pressures and the struggles of daily life into smiles, humor, satire, hope, dreams and freedom.
The power of masks is the ability to hide one’s own face, take on another and create new stories. The many faces of masks inspire us to discover another side of ourselves. Thus, the many faces represent the limitless world of expressions and the diverse identities of people.
With many faces, we can laugh, celebrate and learn to understand our differences. We can be simple and free enough to enliven the inclusiveness of the community. Above all, masks create a sense of harmony, compassion, empathy and cultural exchange with the world.
Each of us has so many faces, personalities and identities, and these varieties empower society and the country.
“Many faces” reminds me of a well-known song titled “Thorn tree.”
“There are so many of me inside of me that there is no place for you to rest. With vain wishes in me, there is no place for you to rest. Inside of me is the darkness that I can’t help but take your place to rest. Inside me is a sadness that I can't overcome. It is like a lush thorn forest. When the wind blows, the dry branches cling to each other and cry. Even the young birds that flew away exhausted in search of shelter are pierced by thorns and fly away. When the wind blows, it is so lonely and painful that there are many days to sing sad songs ...”
Emilia Gatto, the Italian ambassador to Korea, shared her greetings: “Andong is often called the most Korean place in Korea. Here, tradition meets daily life with strength and vitality. … I sincerely hope this festival will become a place where tradition strengthens creativity and energy in the city.”
“Masks may conceal the face, but they open the heart!”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20251012/many-faces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October 12 (online), 13 (offline), 2025
다양한 얼굴 Many faces
“세계를 하나로 만드는 문화의 춤”은 지난 9월 26일부터 10월 5일까지 중앙선 1942 안동역과 탈춤 공원에서 열린 스물아홉 번째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의 주제다.
이번 축제의 또 다른 슬로건은 “춤추는 탈, 다양한 얼굴을 찾아서”이다. 이 표어는 우리 삶 가운데 숨겨진 여러 가지 얼굴과 정체성과 품성을 떠올린다. 다양한 탈은 시간과 문화를 넘어 세계 곳곳에서 살아가는 인류의 기쁨과 슬픔을 반영해 왔다.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축제인 탈춤 페스티벌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의 후원 아래 한국정신문화재단이 주최한다.
올해는 여섯 개 대륙의 26개 나라에서 파견된 탈춤 팀이 참여했다. 그 가운데 17개 팀이 한국인이고, 29개 팀은 해외 단체다. 안동 국제 탈춤 축제는 공연과 경연, 참여와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비롯해, 개인 체험과 특별 음식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해마다 한국에서 열리는 1,500여 개의 축제 가운데 최고의 자리를 지켜왔다.
올해는 한국과 이탈리아의 수교 141주년을 맞아 이탈리아가 주빈국으로 선정되었다.
탈은 단순한 가면을 넘어 기쁨과 분노, 슬픔과 즐거움처럼 보편적인 인간의 감정을 담아내어 영감을 주는 상징일 뿐 아니라, 사회적이거나 정치적인 억압과 일상생활의 고단함을 웃음과 유머, 풍자와 희망, 꿈과 자유로 승화시켜온 문화적 표현이기도 하다.
탈의 힘은 자신의 본래 얼굴을 감춘 채 다른 모습의 가면을 쓰고 새로운 이야기를 엮어낼 수 있는 능력이다. 탈의 다양한 얼굴은 우리 자신이 지닌 또 다른 면을 발견하도록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다양한 얼굴은 무한한 표현의 세계와 사람들의 다양한 정체성을 드러낸다.
다양한 얼굴을 통해 우리는 함께 웃고 기뻐하며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단순하고 자유로운 모습으로 공동체의 포용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무엇보다 탈은 조화로움과 연민과 공감, 세상과 나누는 문화적 교류를 자아낸다.
우리는 저마다 수많은 얼굴과 품성과 정체성을 지니며, 이러한 다양성은 사회와 국가에 힘을 실어준다.
“다양한 얼굴”은 널리 알려진 “가시나무”라는 노래를 떠올린다.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당신의 쉴 곳 없네. 내 속엔 헛된 바램들로 당신의 편할 곳 없네. 내 속엔 내가 어쩔 수 없는 어둠, 당신의 쉴 자리를 뺏고, 내 속엔 내가 이길 수 없는 슬픔, 무성한 가시나무 숲 같네. 바람만 불면 그 메마른 가지 서로 부대끼며 울어대고 쉴 곳을 찾아 지쳐 날아온 어린 새들도 가시에 찔려 날아가고. 바람만 불면 외롭고 또 괴로워 슬픈 노래를 부르던 날이 많았는데…”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는 인사말에서 이렇게 전한다. “안동은 흔히 한국 가운데 가장 한국다운 곳으로 불립니다. 안동에는 전통이 일상과 만나 자아내는 힘과 활력이 있습니다. … 이 축제가 전통이 도시의 창의와 활력을 키우는 거점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탈은 얼굴을 가릴 수 있지만 마음을 열게 합니다!”
2025/09/29
Father Andre Bouton 앙드레 부통 신부
When I first came to Andong, a painting entitled “Virgin Mary and Child of Andong” drew my attention. It is very specially illustrated.
Framed copies of the painting are hung at the Andong Diocese History Museum, in the Pauline bookshop, in the dining room of our community and other places. I didn’t know about the artist who painted it.
An interesting exhibition is now on display on the third floor of the parish office of the Diocese of Andong through Nov. 14 this year, titled “Mural paintings, the landscapes we meet again.”
Father Andre Bouton (1914-1980), a French painter and missionary, came to Korea in 1966 and worked at the Order of Saint Benedict Waegwan Abbey. During his 10-year stay in Korea, he presented creative murals. His painting style is called “Fauvism” and uses simple, intense primary colors with thick and rough brush strokes.
Primarily based on European traditions, he expressed the local life and culture of Korea. He tried to combine the indigenous culture with Christianity to share Christian messages and teachings through the images, going beyond language.
He interpreted Korean colors and aesthetics in a modern way and sublimated the enculturation of faith into art. He also produced print works and ceramic pieces to illustrate the Korean people’s figures, traditions and unique colors.
At that time, liturgy and sacred art in Korea were inclined to Western-centric authoritarianism. Naturally, his modern and unconventional painting style felt unfamiliar to some Koreans.
Centering on the Diocese of Andong, he carried out his missionary work through mural paintings in the Catholic churches, stations and public halls across the country.
A mural painting about Korean traditional marriage, hidden behind a wall and thus unseen for over half a century, was unveiled in January. It was painted on the former Andong Ceremonial Hall, now used as an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In the Daeheung-dong Cathedral of St. John the Worker in Daejeon, there are 10 mural paintings. Among them, eight murals were covered in white paint, trapped in the wall between 1977 and 1979.
Probably because some of the Korean priests and believers preferred rich colors and gentle, beautiful sacred paintings, Father Bouton’s painting style would have been a source of bewilderment. However, celebrat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in 2019, the church community decided to recreate Father Bouton’s murals.
Today, his works of art are being reevaluated as an attempt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faith and art. His murals are more than mere decoration; they are contemplative prayers to God and a record of profound reflection on the encounter between faith and culture.
“Artists who paint sacred images must express the invisible world of God, so much prayer is necessary.” Fatger Bouton said in an interview with a Catholic newspaper in April, 1972. “Before I paint a single painting, I must undergo the pain of giving birth to it. Only by experiencing this in prayer can I reveal the true nature of sacred painting.”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20250925/father-andre-bouton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Sept. 25 (online), 26 (offline), 2025
앙드레 부통 신부 Father Andre Bouton
안동에 처음 왔을 때, “안동의 성모자상”이라는 그림이 눈길을 끌었다. 그 그림은 매우 특별했다.
안동의 성모자 그림은 안동교구 역사박물관, 바오로딸 서원, 우리 공동체 식당 등 곳곳에 걸려 있다. 그런데 나는 이 그림을 그린 화가가 누구인지 몰랐다.
올해 11월 14일까지 안동교구 교구청 3층에서 “벽화, 다시 만난 풍경”이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변화 사진전이 열리고 있다.
앙드레 부통 신부(1914-1980)는 프랑스 화가 선교사로 1966년 한국에 들어와 왜관 성베네딕도 수도원에서 활동했다. 부통 신부는 10년 동안 한국에 머무르며 창의적인 벽화 작업을 했다. 부통 신부의 화풍은 “야수파”라고 불리는데, 이는 단순하고 강렬한 원색을 이용하여 두텁고 거친 붓놀림으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이다.
부통 신부는 주로 유럽 전통을 토대로 한국 지역 생활과 문화를 표현했으며, 토착 문화와 그리스도교를 융합하여 언어를 넘어선 이미지로 그리스도교 메시지와 가르침을 전하고자 노력했다.
부통 신부는 한국적 색채와 미학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신앙을 문화로 토착화하여 예술로 승화시켰다. 판화와 도자기를 만들어 한국인의 모습과 전통, 고유한 향토색을 표현해 내기도 했다.
그 당시 한국의 전례와 성미술은 서구 중심의 권위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었기에 부통 신부의 현대적이고 파격적인 화풍은 몇몇 한국인들에게 낯설게 느껴졌다.
부통 신부는 안동교구를 중심으로 전국 성당과 공소, 공공건물의 벽에 성화를 그리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반세기가 넘도록 덧칠한 벽 뒤에 가려져 빛을 보지 못했던 한국 전통 혼례 벽화가 지난 1월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이 벽화는 현재 도시재생지원센터로 사용되고 있는 옛 안동예식장에 그려진 것이다.
대전 대흥동 (노동자 성 요셉) 성당에 10점의 벽화가 있는데, 그 가운데 8점은 1977년부터 1979년 사이에 흰색 페인트로 뒤덮여 벽 뒤에 갇혀 있었다.
몇몇 한국인 사제와 신자들이 풍성한 색채와 온화하고 아름다운 성화를 선호했기에 부통 신부의 화풍을 받아들이기가 당혹스러웠던 것 같다. 그러다 2019년 대흥동성당 설립 100주년을 맞아 성당 공동체는 부통 신부의 벽화를 모두 재현하기로 결정했다.
오늘날 부통 신부의 미술 작품은 신앙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든 시도로 재조명된다. 부통 신부의 벽화는 단순한 장식을 넘어 하느님께 드리는 관상 기도이자 신앙과 문화가 만난 깊은 성찰의 기록이다.
부통 신부는 1972년 4월 가톨릭시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성화를 그리는 화가는 인간이 볼 수 없는 하느님의 세계를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기도가 필요합니다. 나는 한 폭의 그림을 그리기 전에 반드시 그 그림을 낳는 산고를 겪습니다. 이것을 기도 속에 겪어야만 성화의 본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025/09/25
In Cappadocia and Meteora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Walking the pilgrimage trail in the footsteps of Saint Paul, my heart has been renewed.
Among the changes in my perception that occurred during the pilgrimage, the most vivid is Paul’s frail appearance. Most portraits or paintings illustrate Paul as resolute and determined, often holding a sword in one hand and the Gospels in the other.
However, his actual appearance is far more human. According to the guide, Paul was bald, short and stooped. He was a slight and frail figure.
Then where did his inner strength come from? Where did the inner fortitude, which allowed him to endure and persevere despite limitations and obstacles, come from?
Cappadocia in Turkey and Meteora in Greece offer a glimpse into the remarkable power of nurturing dreams and hope, no matter the circumstances. The incredible and mysterious inner strength inherent in all humans is a gift of God. And this inner power has been sustained by culture, history, natur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rofound inner strength of us all, including Paul, allows us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ies and move forward constantly.
Numerous underground caves are present in Cappadocia, created not by Christians but by the remnants of war. Around 1,200 B.C., the Hittite Empire fell and Asia Minor entered a dark age. As various divided kingdoms fought among themselves, the remnants had to dig underground caves for refuge.
Later, Christians fled persecution by the Roman Empire and lived in the caves for more than 1,200 years, building churches and painting murals within. In the 4th century, the place where theology and spirituality flourished was not Rome, Constantinople or the Ephesus region of Asia Minor, but the remote province of Cappadocia in central Turkey. It was here that Basil the Great, Gregory of Nazianzus and Gregory of Nyssa, known as the three Cappadocian fathers, were active.
Derinkuyu, meaning “deep well,” is a massive underground city constructed up to 120 meters underground. At present, eight levels are accessible for exploration. As the number of refugees increased, more space was needed. They constantly dug sideways and downwards, creating a labyrinth. Traces of churches, frescoes, granaries, wine cellars, artesian wells and millstones that blocked the entrances still remain.
In 1923, when Turkey became an Islamic state, Eastern Orthodox monks migrated to Greece, establishing monastic colonies on mountaintops. Mount Athos and Meteora are good examples. In Meteora, meaning “suspended in midair,” six monasteries (Great Meteoron, Varlaam, St. Stephen, Rousanou, Holy Trinity and St. Nicholas Anapausas) are still open.
The rocky peaks that formed about 60 million years ago were once part of the sea, but erosion by water and wind, tectonic movements, weathering and earthquakes revealed a spectacular array of conical stone pillars. What was once the sea is now a towering mountain. What was once a temple turned into a church, and then a mosque.
Christians migrated to the underground caves of Cappadocia, but now, Turkey is 99 percent Muslim. Christianity in Cappadocia lasted for about 1,200 years. The birthplace of Paul the Apostle and the places that he traveled endlessly for missions in Turkey are now filled with pilgrims.
Despite differences in religion, race and nationality, the inner strength that transcends human limitations flows freely, like the wind and clouds.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voiceofreaders/thoughtsofthetimes/20250917/in-cappadocia-and-meteora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September 17 (online), 18 (offline), 2025
카파도키아와 메테오라에서 In Cappadocia and Meteora
성 바오로의 발자취를 따라 가는 순례길을 걸으며 마음이 한층 새롭게 되었다.
순례 가운데 일어난 인식의 변화 가운데 가장 생생한 것은 바오로의 연약한 모습이다. 바오로의 얼굴이 담긴 대부분의 상본이나 그림은 단호하고 결연한 모습을 드러낸다. 한 손에는 칼을, 다른 한 손에는 복음서를 들고 의연하게 서 있는 모습도 있다.
그런데 바오로의 실제 모습은 그보다 훨씬 인간적이다. 가이드에 따르면 바오로는 대머리에 키가 작고 허리는 구부정했다. 그는 소담하고 왜소한 체형을 지녔다.
그렇다면 그의 내적 힘은 어디서 나왔을까? 한계와 걸림돌에도 한없이 견디고 인내하게 한 내적 강인함은 도대체 어디서 나왔을까?
터키(튀르키예)의 카파도키아와 그리스의 메테오라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꿈과 희망을 키워가는 놀라운 힘을 엿보게 한다. 모든 인간 안에 내재된 놀랍고도 신비로운 내적 힘은 분명 하느님의 선물이다. 이러한 내면의 힘은 문화와 역사, 자연과 물리적 환경을 통해 끊임없이 전해져 내려온다. 바오로를 비롯해 우리 모두가 지닌 심원한 내적 힘은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결같이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카파도키아에는 그리스도인들이 아니라 전쟁 패잔병들이 만들어낸 지하 동굴이 많다. 기원전 1,200년 무렵 히타이트 제국이 멸망하고 소아시아 반도가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각 지역이 갈라져 싸우면서 여러 왕국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패잔병들은 토굴을 파고 숨어 지내야 했다.
그 후 그리스도인들이 로마 제국의 박해를 피해 몰려와 1,200여 년이 넘도록 그 땅굴 속에 살면서 그 안에 교회를 세우고 벽화를 그렸다. 4세기에 신학과 영성이 활짝 꽃핀 곳은 로마나 콘스탄티노플, 소아시아의 에페소 지역이 아니라 튀르키예 중부에 자리한 외딴 속주 카파도키아였다. 바로 이곳에서 카파도키아의 삼총사 교부라고 불리는 대 바실리오, 나지안즈의 주교 그레고리오, 니싸의 주교 그레고리오가 활약했다.
"깊은 우물"이라는 뜻을 지닌 데린 쿠유는 지하 120미터까지 파고 내려간 대형 지하도시로 현재 8층까지 내려가 관람할 수 있다. 피난민들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여, 그들은 옆으로, 아래로 계속 파고 들어가 복잡한 미로를 만들었다. 교회와 프레스코 벽화, 곡물 보관소, 포도주 저장고, 지하수 우물, 입구를 막는 둥근 맷돌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
1923년 튀르키예가 이슬람 국가가 되자 동방정교회 수도자들이 모두 그리스로 이주하여 산꼭대기에 수도원 집성촌을 이루었다. 아토스 산과 메테오라가 그 좋은 예다. "공중에 매달인 바위"라는 뜻의 메테오라에는 대 메테오라, 바를라암, 성 스테파노, 루사누, 성 삼위일체, 성 니콜라스 아나파우사스 등 6개의 수도회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다.
바위 봉우리는 6천만여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물과 바람으로 인한 지각 변동과 풍화 작용, 지진을 거쳐 거대한 원뿔 모양의 돌기둥이 장관을 이룬다. 한때 바다였던 곳이 지금은 드높은 산이다. 한때 이슬람 회당이었던 곳이 성당이 되었고, 다시 모스크가 되었다.
한때 그리스도인들이 카파도키아의 지하동굴로 이주하여 살았지만, 현재 튀르키예인구의 99퍼센트가 이슬람 교도다. 카파도키아의 그리스도교는 1,20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 바오로 사도가 태어나 한없이 걸으며 선교했던 튀르키예는 이제 순례자로 가득하다.
종교가 다르고 인종이 다르며 나라가 달라도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내적 힘은 바람처럼 구름처럼 자유롭게 흘러간다.
Subscribe to:
Comments (Atom)
Gratitude tree branch 감사 나뭇가지
감사 나뭇가지 오랫동안 나뭇가지에 '감사'를 새긴 일죽 강대한 새기고 또 새기다 보니 어느 사이 달린 열매들 "온화함, 평온함, 친절 나눔, 내어 줌, 기쁨..." 살아낸 굴곡 끝에 맺은 ...
-
By the grace of God, I was sent to other countries to live a blessed but challenging missionary life. The most merciful and generous God g...
-
In the fac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wildfires or earthquakes, human efforts can feel like a drop in the bucket. We desperately wait f...
-
“Sing to the Lord, praise the Lord, for he has rescued the life of the poor from the power of the evildoers.” (Jeremiah 20:13) The godf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