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shares English-Korean essays written by Sr. Ae-ran Kim (Mari Teresa) who belongs to the Daughters of St. Paul (FSP) living and sharing the love of God with the help of social communications. The articles in this blog were originally published by The Korea Times. Like sunshine on a beautiful day, after rain or dark clouds, a piece of sunshine aspires to shine every corner of the world with glad tidings day in and day out for the glory of God and peace to people!
2024/11/28
Not quitting 포기하지 않기
When I think of a man of hope, Saint Paul the Apostle comes to my mind. Despite all the hardship and suffering he had to face and endure, he never lost hope. He never gave up his zeal for evangelization.
One day, he expressed his hardship as follows:
“I am still more, with far greater labors, far more imprisonments, far worse beatings, and numerous brushes with death. Five times at the hands of the Jews I received 40 lashes minus one. Three times I was beaten with rods, once I was stoned, three times I was shipwrecked, I passed a night and a day on the deep; on frequent journeys, in dangers from rivers, dangers from robbers, dangers from my own race, dangers from Gentiles, dangers in the city, dangers in the wilderness, dangers at sea, dangers among false brothers; in toil and hardship, through many sleepless nights, through hunger and thirst, through frequent fasting, through cold and exposure.” (2 Corinthians 11:23-27)
If I were in his shoes, what would I do? Would I be able to accept all the situations and carry my cross of life?
I still feel fragile especially when I am discouraged by negative comments and the signs of contradiction. However, through encouraging and inspiring letters, St. Paul gives us a good example of witnessing the truth without losing hope.
“We are afflicted in every way, but not constrained; perplexed, but not driven to despair; persecuted, but not abandoned; struck down, but not destroyed.” (2 Corinthians 4:8-9)
There is a poem entitled “Don’t Quit” that encourages us not to lose inner peace and hope but to go through all the situations with twists and turns. I encountered this poem among the holy cards displayed on the bookshelf in the bookshop.
“Don’t Quit” was written by Edgar A. Guest (1881-1959) who was born in England but moved to Detroit, Michigan, when he was young. He wrote about 11,000 poems and served as Michigan’s poet laureate. “Don’t Quit” first published in the Detroit Free Press on March 4, 1921, is as follows:
Don’t Quit
When things go wrong, as they sometimes will,
When the road you’re trudging seems all uphill,
When the funds are low and the debts are high,
And you want to smile, but you have to sigh,
When care is pressing you down a bit,
Rest if you must, but don’t you quit.
Life is queer with its twists and turns,
As every one of us sometimes learns,
And many a failure turns about,
When he might have won had he stuck it out;
Don’t give up though the pace seems slow—
You may succeed with another blow.
Often the goal is nearer than.
It seems to a faint and faltering man,
Often the struggler has given up,
When he might have captured the victor’s cup,
And he learned too late when the night slipped down,
How close he was to the golden crown.
Success is failure turned inside out—
The silver tint of the clouds of doubt,
And you never can tell how close you are,
It may be near when it seems so far,
So stick to the fight when you’re hardest hit—
It’s when things seem worst that you must not quit.
Thus, never give up! As Adgar recommends, take a rest when necessary, but never quit! Keep going…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1/162_387106.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November 27 (online), 28 (offline), 2024
포기하지 않기 Not quitting
희망으로 가득한 사람에 대해 생각할 때 무엇보다 사도 바오로가 떠오른다. 그가 스스로 직면하며 견뎌내야 했던 모든 어려움과 고난 속에서도 그는 결코 희망을 잃어버린 적이 없다. 그는 복음화에 대한 열정을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어느 날, 바오로는 자신이 견뎌내야 했던 고통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나는 수고도 더 많이 하였고 옥살이도 더 많이 하였으며, 매질도 더 지독하게 당하였고 죽을 고비도 자주 넘겼습니다. 마흔에서 하나를 뺀 매를 유다인들에게 다섯 차례나 맞았습니다. 그리고 채찍으로 맞은 것이 세 번, 돌질을 당한 것이 한 번, 파선을 당한 것이 세 번입니다. 밤낮 하루를 꼬박 깊은 바다에서 떠다니기도 하였습니다. 자주 여행하는 동안에 늘 강물의 위험, 강도의 위험, 동족에게서 오는 위험, 이민족에게서 오는 위험, 고을에서 겪는 위험, 광야에서 겪는 위험, 바다에서 겪는 위험, 거짓 형제들 사이에서 겪는 위험이 뒤따랐습니다. 수고와 고생, 잦은 밤샘, 굶주림과 목마름, 잦은 결식, 추위와 헐벗음에 시달렸습니다. ”(2코린토 11,23-27)
만일 내가 그와 같은 처지에 있었다면, 나는 과연 어떻게 했을까? 그 모든 상황을 받아들여 내 삶의 십자가를 짊어지고 갈 수 있을까?
특히 부정적인 말과 삶의 모순이 드러나는 모습들을 보며 낙담할 때 나는 나 자신이 여전히 연약하다고 느낀다. 하지만 끊임없이 격려하며 영감을 주는 바오로 사도의 편지는 희망을 잃지 않고 진리를 증거하는 좋은 본보기가 된다.
“우리는 온갖 환난을 겪어도 억눌리지 않고, 난관에 부딪혀도 실망하지 않으며, 박해를 받아도 버림받지 않고, 맞아 쓰러져도 멸망하지 않습니다.”(2코린토 4,8-9)
내적 평화와 희망을 잃지 않고 모든 상황의 우여곡절을 묵묵히 견뎌내라며 힘을 주는 “포기하지 마”라는 제목의 시가 있다. 나는 서가에 진열된 상본 가운데 이 시를 만났다.
"포기하지 마Don't Quit"는 영국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 미시간주 디트로이트로 이주한 에드거 앨버트 게스트(1881-1959)가 쓴 시다. 11,000여 편의 시를 쓴 에드거는 미시간주의 계관시인이 되었다. 1921년 3월 4일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에 처음 실린 이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포기하지 마
때때로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앞길이 온통 오르막길인 것만 같을 때
돈 한 푼 없어 빚만 쌓여갈 때
웃고 싶지만 한숨만 나올 때
돌보아야 하는 부담이 자신을 억누를 때
필요하다면 쉬어, 하지만 포기하지는 마.
삶에는 굴곡이 많아 기이하기도 해
우리 모두 때때로 깨닫게 되듯
수많은 실패도 나중에 알고 보면
조금만 더 견디었더라면 극복했을 것을
걸음이 더딘 것 같아도 포기하지 마—
조금만 더 힘을 내면 성공할 수 있어
용기를 잃고 머뭇거리는 이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는 대개 더 가까이 있어
노력하던 많은 사람이 흔히 포기하였지
승리의 잔을 움켜잡을 뻔했던 바로 그때
밤의 장막이 내렸을 때 뒤늦게 알게 되지
승리의 황금 관에 얼마나 가까웠는지
성공이란 실패를 뒤집어 놓은 것—
의혹의 구름 가장자리에 빛나는 햇살
성공이 얼마나 가까운지 말할 수 없어
멀리 있는 것 같을 때 훨씬 가까운지도 몰라
그러니 무척 힘들더라도 한없이 견디며 이겨내—
최악으로 보일 때야 말로 결코 포기해서는 안 돼
그러니 결코 포기하지 말자! 에드거가 권고하듯 필요하다면 쉬더라도 멈추지는 말자! 계속 걸어 나아가자…
2024/11/20
Undoer of knots 매듭 푸는 사람
"Be a doer, not a dreamer!” It is a saying that inspires us to be a doer. The apostle James also advises us to put the words of God into practice by being “doers of the word” (James 1:22). We are encouraged to be more constructive and productive by being a faithful doer.
At the same time, we are inspired to be an undoer. What does it mean to be an undoer? In what way can we become an undoer?
Some of us might have a difficult time untangling the complicated knots of threads, hoses, and sometimes even relationships. As you know, untying knots takes a lot of time, energy, patience and prayer.
When the tangles are twisted, quick-tempered people can simply cut them away. Only those who are calm, patient and generous can undo the tangles one by one with enduring perseverance.
Solving and untangling the knots of human relationships take time and patience because relationships need considerable effort, along with an even more challenging process of understanding, acceptance, forgiveness, reconciliation and letting go.
There is a Baroque-styled painting of a woman untangling a long ribbon in the Catholic Pilgrimage Church of St. Peter and Perlach in Augsburg, Bavaria in Germany. Johann Georg Melchior Schmidtner (1625-1707) painted it around 1700, commissioned by Hieronymus Ambrosius Langenmantel.
The Blessed Virgin Mary stands on the crescent moon in this painting. The Holy Spirit in the form of a dove is above her, while angels surround her. Her foot tramples the head of a knotted snake, representing the Devil, yet Mary is focused on untying knots from a long ribbon.
Below Mary, a little human walks together with the Angel Raphael. He is interpreted as Tobias in the Book of Tobit in the Old Testament. He is also interpreted as Wolfgang Langenmantel (1586-1637), the grandfather of Hieronymus Ambrosius Langenmantel.
Wolfgang was in distress because he was going to divorce his wife, Sophia Rentz. Realizing his situation, he asked Father Jakob Rem, a Jesuit priest, to help him. So, Father Jakob prayed earnestly before the Blessed Virgin Mary to untie all the knots of their marriage life.
Immediately, they recovered peace and love in their life and avoided divorce. In memory of this healing moment, their grandson, Hieronymus, commissioned the painting of Mary as "Undoer of Knots."
This devotion of Mary as Undoer of Knots was first spread and practiced in Argentina and Brazil. Then, thanks to Pope Francis who saw this painting while visiting Germany in the 1980s after a difficult stint as a seminary rector, the devotion of Mary as Undoer of Knots began to spread widely throughout the world. Since 2013, the image of "Mary, Undoer of Knots" (1700) has become a central symbol in his pastoral activities.
A marriage ribbon is still used in weddings in many countries. Couples are tied and looped together as a sign of their new unity with each other. However, as time passes, the ribbon can be twisted and knot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tangle the conflicts among people, especially among couples on the edge of divorce.
Pope Francis said: “These knots take away our peace and serenity. They are dangerous since many knots can form a tangle — that gets more and more painful and difficult to undo.”
Realizing its danger, St. Ignatius of Loyola advises us in his Spiritual Exercises to “put a good interpretation on a neighbor’s statement” rather than condemning it.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4/11/162_386344.html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November 19 (online), 20 (offline), 2024
매듭 푸는 사람 Undoer of knots
"꿈 꾸는 사람이 아니라 실천하는 사람(doer)이 되라!"는 말은 우리가 행동하며 실천하는 사람이 되도록 영감을 주는 격언이다. 사도 야고보 또한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야고보서 1,22)이 되어 하느님 말씀을 몸소 실천하라고 권고한다. 우리는 저마다 충실하게 실천하는 사람이 되어 더 건설적이고 생산적으로 행동하라는 부르심을 받는다.
우리는 또한 매듭 푸는 사람(undoer)이 되라는 영감을 받는데, 이는 과연 무슨 뜻일까? 어떻게 하면 매듭 푸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우리 가운데 몇몇은 복잡하게 뒤엉킨 실이나 호스, 때로는 꼬인 관계의 매듭을 푸느라 어려움을 겪는다. 실제로 매듭을 풀려면 많은 시간과 에너지, 인내와 기도가 필요하다.
얽힌 매듭이 뒤엉켜 있을 때 성급한 사람들은 매듭을 단순히 잘라 내기도 한다. 침착하고 인내심 많으며 너그러운 이들만 얽힌 매듭을 하나하나 끈기 있게 풀어갈 수 있다.
인간 관계의 매듭을 풀어 정리하려면 상당한 시간과 끈기가 필요하다. 더 나은 관계를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널리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용서하고 화해하며 흘러 보내는 고단한 여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독일 바이에른 아우크스부르크의 성 베드로 암 페를라흐 성당에 긴 리본에 있는 매듭을 푸는 여인의 모습을 그린 바로크 양식의 성화가 있다. 요한 게오르그 멜키오르 슈미트너(1625-1707)가 히에로니무스 암브로시우스 랑겐만텔의 부탁을 받아 1700년 무렵에 그린 것이다.
그 성화에는 성모님(복되신 동정 마리아)이 초승달 위에 올라서 있고, 비둘기 형상의 성령이 성모님 머리 위에 있으며, 성모님은 천사들에 둘러싸여 있다. 성모님의 발은 악마를 상징하는 꼬인 뱀의 머리를 밟고 있으며, 성모님은 긴 리본의 매듭을 푸는 데 집중하고 있다.
성모님의 발치 아래 자그마한 사람이 라파엘 대천사와 함께 걷고 있다. 그는 구약성경 토빗기에 나오는 토비야로 해석된다. 또한 히에로니무스 암브로시우스 랑겐만텔의 할아버지 볼프강 랑겐만텔(1586-1637)로 풀이되기도 한다.
볼프강은 아내 소피아 렌츠와 이혼할 위기에 처하여 몹시 괴로워하였다. 자신이 처한 위기 상황을 깨달은 볼프강은 예수회 야콥 렘 신부에게 도움을 청했다. 야콥 신부는 성모님께 간절히 기도하며 부부 사이에 묶인 모든 매듭을 풀어 매끄럽게 해 달라고 청했다.
그리하여 볼프강 부부는 이혼을 피하고 곧바로 가정의 평화와 사랑을 되찾았다. 그러자 가정의 치유에 감사드리는 뜻으로 볼프강 부부의 손자 히에로니무스는 슈미트너에게 부탁하여 “매듭을 푸시는 성모님”을 그리게 했다.
매듭을 푸시는 성모 신심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 널리 퍼졌으며, 1980년 초 신학교 학장으로서 힘든 임기를 마치고 독일을 방문하여 이 성화를 본 프란치스코 교황(당시 베르골료 신부) 덕분에 매듭을 푸시는 성모 신심이 세계 곳곳에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2013년 이래 "매듭을 푸시는 성모"(1700) 성화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목 활동에서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결혼 리본은 여전히 많은 나라의 결혼식에서 사용된다. 부부는 서로 새롭게 하나되는 표시로 한데 묶인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리본이 꼬여 매듭이 생기기에 사람들 사이의 갈등, 특히 이혼을 앞둔 부부 사이의 갈등을 풀어야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렇게 말한다. "매듭은 우리 삶에서 평화와 기쁨을 앗아갑니다. 매듭이 많으면 마음과 정신을 숨 막히게 하여 위태롭습니다. 매듭이 엉켜 있으면 고통에 휩싸여 매듭 푸는 것이 더 어려워집니다."
일찍이 매듭의 위험성을 깨달은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는 “영신수련”에서 이웃의 주장을 비난하기보다 긍정적으로 "좋게 해석하는” 쪽으로 마음을 쓰라고 권고한다.
Subscribe to:
Posts (Atom)
Walking uphill 오르막길 걷기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The Lord let his face shine upon you, and be gracious to you! The Lord look upon you kindly and give you...
-
Each of us has dreams. Dreams motivate and inspire us to pursue our goals constantly with hope and perseverance. Dreams let us go beyond l...
-
Conflicts in Ukraine, the Middle East, Taiwan, and Koreas are going on regardless of our sincere hope for peace. Furthermore, many people ...
-
Whenever I went to church with my devout mother, her first act of faith was to put her hands together to pray in front of Blessed Mary 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