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iece of Sunshine" shares English-Korean essays written by Sr. Ae-ran Kim (Mari Teresa) who belongs to the Daughters of St. Paul (FSP) living and sharing the love of God with the help of social communications. The articles in this blog were originally published by The Korea Times. Like sunshine on a beautiful day, after rain or dark clouds, a piece of sunshine aspires to shine every corner of the world with glad tidings day in and day out for the glory of God and peace to people!
▼
2025/04/16
Just as we are 있는 그대로 --In memory of Bishop Rene Dupont (1929-2025)
“Sing to the Lord, praise the Lord, for he has rescued the life of the poor from the power of the evildoers.” (Jeremiah 20:13)
The godfather of the sociably disadvantaged, Bishop Dubong (Rene Dupont) died at the age of 96 at 7:47 p.m. on Thursday.
He wholeheartedly dedicated his life and energy to sharing the joy of the Gospels with those around him, without discrimination. He hoped for the church to work for the weak and the alienated.
He sincerely believed that the church's mission is to be concerned about those who are having difficulties in life, to empower them and to give them hope.
I believe he was ready to face his final moments in peace, letting go when a cerebral infarction struck a few days ago.
He was blessed to go to the heavens just before the Lord’s Passion Sunday without much suffering.
If I had to choose the words to capture his life, they would be "joyfully with dignity" and "simply with gratitude." I could see his cheerful spirit whenever I listened to his talks on YouTube. His last words to the priests of the Diocese of Andong were thank you.
One day, after confession, I expressed to him my earnest longing to correct and improve myself.
Looking at me intently with large, clear eyes, he said, “Don’t make too much effort to correct yourself. Just accept yourself as you are. Be yourself. Our fundamental temperament cannot be changed.”
After reflecting on the virtue of being as I am as he inspired me, I wrote the following poem on acceptance:
Do not try hard
To correct the self.
Accepting yourself as you are
Let it flow like the water.
Do not try hard
To press on the self.
As the earth embraces everything
Let it go like the rain.
We were supposed to visit Bishop Dubong for confession once a month, but the wildfires in March prevented us.
We wish we could flow freely like the spring water. We wish we could let it go like the rain. However, in our life, flowing like water is not easy. Letting it go like the rain takes much time and patience, for we have shadow and inner resistance. We need help and guidance.
I used to believe that, given enough time, we could all change and be transformed into someone new. But some argue that our personalities are governed by the law of immutability. It made me wonder if we can ever really change. Perhaps certain features or aspects of our character cannot be changed, no matter how hard we try. And when we try to force change, our stubborn traits might not bend, but break.
Therefore, as Bishop Dubong advised, the best way to be at peace with the self would be simply “beginning again and again, day by day.”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Leviticus 19:18; Mark 12:31)
“Do nothing out of selfishness or out of vainglory; rather, humbly regard others as more important than yourselves, each looking out not for his own interests, but also everyone for those of others.” (Philippians 2:3-4)
*The Korea Times / Thoughts of the Times / April 15 (online), 16 (offline), 2025
*https://www.koreatimes.co.kr/opinion/voiceofreaders/thoughtsofthetimes/20250415/just-as-we-are
있는 그대로 Just as you are --두봉 주교님(1929-2025)을 기리며
"주님께 노래 불러라! 주님을 찬양하여라! 그분께서 가난한 이들의 목숨을 악인들의 손에서 건지셨다." (예레미야 20,13)
사회적으로 버림받은 이들의 대부였던 두봉 주교님(르네 듀퐁)이 목요일(4월 10일) 오후 7시 47분, 96세에 선종했다.
주교님은 자신의 생명을 바치고 온 힘을 다해 그 누구도 차별하지 않고 복음의 기쁨을 나누었다. 우리 교회가 약하고 소외된 이들을 위해 일하기를 희망했다.
교회의 사명은 삶 가운데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힘과 희망을 주는 것이라고 주교님은 진심으로 믿었다.
며칠 전 주교님이 뇌경색으로 쓰러졌을 때 자신을 내려놓고 평온하게 마지막 순간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주교님은 주님 수난 주일 전에 큰 고통을 받지 않고 하늘나라로 가는 축복을 받았다.
주교님의 삶을 담아낼 수 있는 단어를 고르라면 "기쁘고 떳떳하게"와 "감사하며 단순하게"이리라. 유튜브에 올라온 주교님 말씀을 들을 때마다 나는 주교님의 밝은 기운을 느낀다. 안동교구 사제들에게 마지막으로 건넨 말씀은 고맙다는 것이었다.
어느 날, 고해성사를 마친 나는 주교님께 나 자신을 고치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을 표현했다.
주교님은 크고 맑은 눈길로 나를 찬찬히 바라보며 말씀하셨다. "자신을 고치려고 너무 애쓰지 말아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세요. 있는 그대로 사세요. 우리의 근본적 기질은 바꿀 수 없어요."
주교님한테서 영감을 받아 있는 그대로 나 자신이 되는 미덕을 되새기며 받아들임에 대한 시를 썼다.
자신을 너무
고치려 하지 말아요
그냥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물처럼 흘러, 흘러가요
자신을 너무
다그치지 말아요
땅이 모든 걸 품어 안듯
비처럼 내려, 내려 놓아요
한 달에 한 번 두봉 주교님을 찾아 고해성사를 드리기로 했는데 3월에 일어난 산불로 가지 못했다.
우리는 샘물처럼 자유로이 흘러가길 소망한다. 비처럼 흘러 내려가기를 바라지만 우리 삶 가운데 물처럼 흘러가는 것은 그다지 쉽지 않다. 비처럼 내려놓으며 아래로 흘러가려면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다. 그림자와 내적 저항력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도움과 지도가 필요하다.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우리 모두 변화되어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 날 수 있다고 믿는데 어떤 이들은 우리 성격이 원판 불변의 법칙을 따른다고 주장한다. 그 말을 들으니 우리가 정말 변화될 수 없는지 의문이 든다. 사실 우리 성격이 지닌 어떤 특징이나 모습은 우리가 아무리 노력해도 바꿀 수 없을지 모른다. 너무 애써 변화되려고 하면 우리의 완고한 기질이 휘어지지 않고 오히려 꺾일지도 모른다.
두봉 주교님이 조언하신 것처럼 자신을 평온하게 받아들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단순히 "날마다 거듭 새롭게 시작하는 것"이리라.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레위기 19,18; 마르코 12,31)
“무슨 일이든 이기심이나 허영심으로 하지 마십시오. 오히려 겸손한 마음으로 서로 남을 자기보다 낫게 여기십시오. 저마다 자기 것만 돌보지 않고 남의 것도 돌보아 주십시오.” (필리피 2,3-4)
저도 이번에 두봉 주교님 선종 소식에 주교님에 관한 동영상을 많이 찾아보면서 정말 밝고 기쁜 기운을 받게 되었어요. 아, 정말 이웃에게 ㄱ한심을 기울이고 마음이 열린 분이시구나 했는데, 수뇨님의 글을 보니 그분이 얼마나 자신을 잘 받아들이시는 분인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자신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때로 큰 용기와 겸손, 인내가 필요한 것 같아요. 우린 늘 뭔가가 되고 싶어 하고 심지어 스스로의 눈애도 뭔가가 되어 있지 않으면 스스로를 들볶는 참 희한한 성질을 갖고 있지요 ㅠㅠ. 좀더 단순하게, 더 어린이같이 살고 싶네요.
ReplyDelete수녀님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예, 고맙습니다. 끊임없이 걷고 또 걸으며 순간 순간 새롭게, 또 새롭게 시작하는 여정입니다...
Delete